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7일 금통위 '콜금리 동결'에 무게 실려

경기부진이 인상 부담될듯

하반기 경기부진 대응과 과잉유동성 해소라는 상이한 상황을 놓고 오는 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개최된다. 특히 지난달 말 미국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가 정책금리를 또 한번 0.25%포인트 올리면서 한은의 통화정책 방향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일단 금융시장은 ‘콜금리 동결’ 가능성에 대부분의 표를 던지고 있다. 이미 6월에 한 차례 콜금리를 올린데다 과거 2번 연이어 금리를 올린 사례가 없다는 게 핵심 근거다. 게다가 5월 산업활동동향 등에서 경기선행지수가 연이어 하락세를 기록하며 하반기 경기하강이 기정사실화된 점이 잇따른 금리인상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나마 안정세를 보여왔던 원ㆍ달러 환율도 최근 950원선이 무너지는 등 다시 폭락세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안심하기는 이르다. 한은이 부동산 가격 버블을 야기한 시중의 과잉유동성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음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성태 총재까지 나서 “저물가 시대에는 물가만 보고 통화정책을 운영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한 상황이다. 게다가 중앙은행의 정책목표 1순위인 물가수준도 공산품을 위주로 상승압력이 커지고 있다. 연내 담뱃값 인상까지 고려한다면 3%대 물가관리 목표도 위협받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하반기 경기하락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운신의 폭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한시라도 빨리 콜금리를 일정 수준에 올려놓아야 한다는 다급함이 금리인상 불가피론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로 인해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최근 “한국이 부동산을 비롯한 자산시장의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콜금리 인상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치를 내놓기도 했다. 결국 이번 금통위는 콜금리를 올리느냐, 내리느냐 여부보다는 “어느 때 콜금리 목표를 올려야 경기에 부담이 최소화되겠는가”의 고민을 위한 자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