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황창규 사장 "낸드플래시 업계 구조조정 온다"

경쟁업체 도전에 환율까지… 항상 위기감 느껴

삼성전자 황창규 사장이 낸드플래시 메모리 업계의 구조조정이 예상보다 빨리 찾아올 것이라며 기술과 원가 경쟁력이 떨어지는 업체들의 도태 전망을 밝혔다. 이는 최근 모바일 기기나 게임기 등 낸드플래시를 채택하는 IT기기들이 늘고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인텔이나 도시바 등의 업체들이 낸드 플래시 생산을 위한 투자를 급속도로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특히 주목된다. 황 사장은 지난 4일 기흥사업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과거 D램의 경우를 보면 시장규모가 커지면 기술이나 원가 경쟁력에서 밀리는 업체들이 도태당하는 구조조정의시기가 찾아왔었다"면서 "낸드는 예상보다 이런 시기가 빨리 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전망의 이유로 신제품이나 신기술의 개발 주기가 점차 빨라지고 있는데다 모바일 기기 등을 중심으로 낸드플래시가 사용되는 제품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점을 들었다.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제품의 가격은 급락하기 마련이며 이같은 시장의 흐름에 맞춰 생산 원가를 낮추지 못하는 업체는 도태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황 사장은 특히 인텔이 마이크론과 합작해 낸드플래시 시장에 진출하고 도시바가 대규모 투자를 통해 플래시메모리 생산량을 늘리기로 하는 등 경쟁업체들의 도전이 확대되고 있는데 대해 "항상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털어놨다. 그는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경쟁이고, 항상 위기다"라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는 고급 제품과 기술을 앞서서 개발하고 비용을 절감해 경쟁에 나서는 정공법으로 나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황 사장은 환율 급락으로 인한 타격에 대해 "반도체 사업에서 가장 큰 요인이 환율"이라고 전제하고 "결국 남들이 하지 못하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내고 비용을 절감하는 기술 개발로 견뎌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개발한 휴대폰용 대용량 MLC 낸드플래시 솔루션인 '무비낸드(moviNAND)'의 매출 전망에 대해 "주요 휴대폰 업체들에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S라인의 파운드리(수탁가공)사업에 대해서는 "다른 업체보다 파운드리 사업을 늦게 시작했지만 차별화된 기술을 무기로 삼아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