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천 선박수리·조선업체 사라질판

지역업체 2곳 주변 하늘도시 개발로<br>사업장 폐쇄하거나 타지역 이전 불가피<br>"인천항 수리 서비스 안돼 경쟁력 위축우려"


인천항을 이용하는 선박들의 수리는 물론, 배를 건조하는 업체들이 지역개발 논리에 밀려 인천을 떠나야 할 처지에 놓여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3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과 인천항만공사, 한국골재협회, 관련업체에 따르면 영종도 구읍 뱃터 옆에 위치해 선박 건조와 수리를 하는 KNC 개발과 동구 만석동 삼광조선소 등 2개 업체가 주변지역 개발로 조만간 사업장이 폐쇄되거나 타 지역으로 이전이 불가피 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인천항을 이용하는 선박들이 이들 회사의 이전으로 목포나 군산항에 가서 수리와 검사를 받아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고 그에 따른 비용부담도 만만치 않아 인천항 경쟁력 위축으로 이용 선박이 줄어들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인천항을 통해 이용하는 선박은 연간 300~400여척으로 이중 200톤급 선박만도 180여척이나 된다. 이에 따라 선박 건조 또는 수리해 벌어들이는 수리조선업체의 수입도 한해동안 약 250억~3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KNC 개발은 한국토지공사가 추진중인 영종 하늘도시(1,907만4,000㎡) 개발사업 지역에 포함되면서 올 연말까지만 영업이 허용된 처지다. 이 업체는 한국토지공사로부터 사업장 폐쇄 후 영업보상을 받아야 할 상황이나 보상금이 터무니 없이 적어 인천항 인근의 대체부지를 찾지도 못하고 있다. KNC 김형식 대표는 “중ㆍ동ㆍ남ㆍ남동ㆍ서구, 옹진군에 모두 건의 했는데 마땅한 부지가 없다고 하고 경제자유구역내에는 공장허가가 안나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며 “북항에 인천항만공사 소유의 부지가 있지만 공사의 협조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각종 개발로 인천지역에 있던 수많은 조선소가 모두 타 지역으로 이전되면서 현재 2곳만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나 이마저 폐업하거나 이전할 경우 300~400여척의 예인선 또는 바지선이 목포나 군산항에 가서 선박 수리나 검사를 받아야 할 형편”이라며 “해상 안전사고는 물론, 업체들이 연간 부담해야 하는 비용도 150억원에 달해 손실이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삼광조선 역시 사업장 확장을 희망하고 있으나 주변지역 개발로 타 지역으로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관련 선박을 이용하고 있는 골재협회 회원사들도 ‘대체 조선소 확보’와 ‘조선소의 폐쇄 유보’를 인천시,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인천항만공사 등 관계기관에 요구했다. 협회는 “항만은 수많은 선박이 드나드는 곳인데 배에 이상이 생겼을 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정비소가 없다는 것은 육지의 자동차 정비업체가 없는 것과 같아 항만의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토지공사 인천지역본부 관계자는 “KNC 개발이 영종 하늘도시 개발구역에 포함돼 있어 올 연말까지 부지를 비워줘야 하며 타 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토지공사에서 대체부지를 마련해 줄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