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3분기 원화 절상률 주요국중 선두권

7.2%로 中·日은 물론 싱가포르·대만보다 높아


원화의 통화가치 절상률이 지난 3ㆍ4분기에 일본과 중국은 물론이고 싱가포르와 대만 등 경쟁 국가들보다 높아 주요 국가 가운데 선두권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3ㆍ4분기 중 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원ㆍ달러 환율은 1,140원20전으로 지난 6월 말의 1,222원20전보다 82원이나 떨어졌다. 이는 절상률로 볼 때 7.2%에 이르는 수준이다. 이 같은 절상률은 유로화(11.4%), 호주 달러화(15.0%), 스위스 프랑화(9.7%), 그리고 폴란드 즐로티화(16.6%) 등보다는 낮은 것이다. 하지만 일본 엔화(6.3%), 싱가포르 달러화(6.1%), 대만 달러화(2.9%), 중국 위안화(1.4%), 홍콩 달러화(0.3%), 태국 밧화(6.8%), 말레이시아 링깃화(4.6%), 인도네시아 루피아화(1.7%), 브라질 헤알화(6.9%), 영국 파운드화(5.2%) 등보다는 높았다. 원화의 절상률이 이처럼 높았던 것은 외국인 유입 규모가 워낙 많았던데다 미국의 추가적인 양적완화 기대에 따른 글로벌 달러 약세, 경상수지 흑자 등이 이어진 데 따른 것이다. 이 기간 평균 원ㆍ달러 환율은 1,183원60전으로 2ㆍ4분기의 1,165원20전보다는 높았다. 환율 하루 변동폭은 8원30전, 전날 대비 변동폭은 5원10전으로 전 분기의 12원80전과 10원90전보다는 축소됐다. 이는 2ㆍ4분기 때 천안함 사태 등 지정학적 위험이 커지면서 이례적으로 변동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한편 3ㆍ4분기 중 은행 간 외환거래 규모는 하루 평균 226억9,000만달러로 전 분기보다 11.3% 줄었다. 국내 기업의 선물환 순매도 규모는 56억달러로 전 분기의 159억달러보다 약 3분의1로 줄었다. 2ㆍ4분기 때 환율이 단기간 급등함에 따라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선물환 매도가 크게 늘었으나 3ㆍ4분기 때는 환율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