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당 근로시간 40시간일때 노동능률 최대

근로시간 감소에 따른 잠재성장율 하락 크지 않아

주당 근로시간(취업시간)이 40시간일때 노동 능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근로시간이 줄어도 노동능률이 높아져 총노동투입 규모의 감소율은 근로시간감소율보다 작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주당 근로시간이 40시간을 넘는 우리나라는 근로시간을 더 줄여도 잠재성장률 하락폭이 근로시간 감소폭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4일 발간한 정책연구 자료집을 통해 1963년부터 2003년까지 총취업자의 주당 근로시간과 노동능률 지표를 추정한 결과 주당 근로시간이 40시간일때 노동능률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KDI에 따르면 1983∼1993년까지 전체 취업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앞선 10년보다 0.50% 줄었지만 이 기간 총노동투입 규모(취업자 수×주당 근로시간×노동능률)는 2.64% 늘어났다. 이와 함께 1993∼2003년까지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0.71% 감소했지만 총노동투입 규모는 0.68% 증가했다. 김동석 KDI 연구위원은 "근로시간이 줄었지만 근로시간 감소에 따른 노동능률향상으로 전체 노동투입 규모의 감소폭이 노동시간 감소폭보다 작았고 취업자 증가까지 감안하면 전체 노동투입 규모는 근로시간이 줄어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노동능률은 주당 평균 근로시간이 줄어든 1983∼1993년에 0.28% 늘어났고과 1993∼2003년에는 -0.02% 줄어 주당 평균 근로시간 감소폭보다 훨씬 작았다. 취업자 수의 증가율은 1983∼1993년 2.86%, 1993∼2003년 1.42%였다. 김 위원은 이에 따라 "취업시간이 40시간으로 줄어들기 전까지는 총노동투입 규모 감소폭이 취업시간 감소폭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잠재성장률을 전망할때도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취업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1960년대 초반 47시간에서 1982년 56시간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점차 줄어 2003년에 49시간을 기록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