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김형기 부국장 겸 금융부장 kkim@sed.co.kr
“부동산 시장의 장기침체는 환상과 과욕이 부른 비극입니다. 건설업체들은 ‘부동산 불패’라는 허상 속에 주택수요를 잘못 예측했고, 지방자치단체는 주먹구구식으로 개발 허가를 내줬습니다. 양쪽의 욕심이 미분양 아파트 급증과 건설업계 위기를 몰고 왔습니다.”
안택수(68ㆍ사진) 신용보증기금(신보) 이사장은 건설업계 위기의 근본적 원인은 ‘과욕이 빚어낸 오판’이라고 일갈했다.
지난 2008년 7월 이사장에 취임해 중소기업들을 바로 곁에서 지원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의 최전방을 맡아왔던 그다. 기자로, 국회의원으로, 정책금융기관장으로 다양한 관점의 삶을 살아온 그의 ‘눈’은 우리나라 건설업계 위기의 심장에는 바로 인간의 허상과 욕심이 있다고 꿰뚫고 있었다.
안 이사장은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풀고 세금 낮추는 등 노력을 많이 하고 있지만 과연 그 처방이 통할지는 하반기나 되어야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주택건설 경기가 살아나야만 한국경제가 진짜로 살아날 수 있는 데 아직까지는 미분양 물량이 많이 남아있어 시간이 다소 걸릴 듯 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건설 분야를 지원해 조금만 살려내면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은 3% 안팎은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신보는 그 동안 다른 금융기관 보다 중소 건설업계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펼쳐왔다. 지난 2009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했던 ‘건설공사 브릿지론 보증제도’를 지난해 부활시켜 총 420건에 7,223억원을 지원했다. 또 12월에는 17개 건설사를 포함해 75개 기업이 편입된 ‘건설사 유동성지원 유동화증권’(CBO) 4,020억원을 발행했다.
올해도 이 같은 지원을 지속할 방침이다.
안 이사장은 “올해는 이달 중에 3,500억원 규모의 CBO를 발행하는 등 성장 유망한 중소ㆍ중견 건설사 240개를 집중 발굴해 1조2,0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 이사장은 오는 6월 말 임기가 만료된다. 그가 재임기간 중 선보인 정책 중 가장 애착을 갖고 있는 것은 뭘까.
안 이사장은 주저없이 올해 초 내놓은 ‘온라인 대출장터’와 ‘일석e조보험’을 꼽았다. 안 이사장은 “두 상품은 재임기간 중 현장을 발로 뛰면서 만난 중소기업인들로부터 얻은 아이디어에 신보의 노하우를 결합해 개발했다”며 “기업인들의 가려운 곳을 직접 긁어주는 중소기업 지원 금융상품의 ‘명품’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온라인 대출장터는 온라인 상의 대출거래 사이트로 중소기업이 최적의 조건을 제시하는 은행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서비스가 시작된 지 2달 만에 각 은행 별로 2,657개 지점이 온라인에 등록했으며 총 1,655건 1,509억원의 자금지원이 이뤄졌다.
안 이사장은 “온라인 대출장터는 그 동안의 대출관행에서 ‘을’이었던 중소기업이 ‘갑’이 되어 대출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혁명적 시스템”이라며 “2월 시스템 개시 이후 온라인 대출장터 이용기업들의 평균금리가 5.79%로 그 이전 보다 무려 0.43%포인트나 인하됐다”고 전했다. 그는 “평균금리가 1%포인트 낮아질 경우 금융비용 절감효과가 연간 4,000억원에 달한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일석e조보험은 국내 최초로 기업들이 외상값(매출채권)을 떼일 수 있는 가능성에 대비해 보험을 들면서, 동시에 외상값을 담보로 자금을 대출받아 쓸 수 있는 상품이다. 예를 들어 1억원의 외상값이 있는 기업이 이 상품에 가입하면 손실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금액의 80%를 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다. 현재 중소기업청, 기업은행과 함께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다른 금융기관으로도 확대할 방침이다.
안 이사장은 “출시 이후 현재까지 총 40건에 보험가입금액은 612억원으로 이중 86억원의 대출이 실행됐다”며 “상품출시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신보 자체적으로 46건, 연간 1,051억원 규모의 보험심사가 진행 중이고 기업은행으로부터 91건의 심사가 들어오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고 전했다.
신보는 이름 그대로 국민의 세금을 활용해 기업의 신용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보증을 서 금융지원을 해주는 기관. 신용평가가 세밀하고 정확하지 않다면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신용평가사들이 저축은행과 중견 건설기업들의 부실을 미리 감지하지 못하자 금융권의 신용평가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은 신평사의 평가 대신 신보의 평가를 중요 잣대로 활용한다. 신보가 기업금융에 대한 신용평가 시스템 붕괴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안 이사장이 그동안 심혈을 기울인 곳은 신보의 보증심사시스템이다. 안 이사장은 취임기간동안 두 단계를 거치며 보증심사시스템을 뜯어고쳤다.
“과거 실적만으로 진행된 신용평가로는 중소기업을 제대로 지원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리스크에 대한 예측도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미래성장성ㆍ경영능력 검토표’를 도입했지요.”
현재에 대한 평가보다는 미래를 향한 추세에 방점을 찍었다는 의미다.
미래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자칫 부실 가능성이 우려됐지만 적용결과는 정반대. 미래라는 변수를 적용한 보증의 부실률(0.7%)이 기존 보증의 부실률(1.0%) 보다 낮았다.
신보는 높은 보수와 복지혜택, 안정적인 고용보장 등으로 대표적인 ‘신의 직장’으로 꼽혀왔다.
“신보 임직원들은 금융위기 이후 야근과 휴일근무를 마다하지 않고 기꺼이 일했습니다. 실제 일하는 것에 비해 국민의 사랑이 부족해 안타까웠을 정도입니다.”
안 이사장은 이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문화 체질 개선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GI캠페인(Great Innovation)을 시작, 직원들의 제안을 취합해 업무프로세스, 고객만족, 직원만족도를 높여가고 있다. 그동안 들어온 개선제안만 무려 1,300여건. 즉각 실행이 가능한 것들을 우선 정리한 후 중장기 체질개선이 필요한 것들을 추려 올해 집중적으로 바꾸고 있다.
“나무는 꽃을 버려야 열매를 맺고, 강물은 강을 떠나야 바다에 이릅니다. 회사에 출근하는 순간 진정한 공복(公僕)의 자세를 갖고 공익을 위해 살겠다는 무장을 해야 합니다. 그게 바로 신보 체질개선의 시작입니다.”
안 이사장은 신보가 제대로 평가받기를 원한다면 “우선 모든 것을 버리고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해진 틀에서 벗어나고, 안주하려 했던 것들과 이별해야 한다는 신보에 대한 당부이자, 우리 사회에 대한 화두이기도 하다.
사진=이호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