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급물살 타는 대학 구조조정] 대학들 실무기획단 구성 통·폐합 박차

권역별로 거점대학 추진 잇달아 교육부도 성공모델 조기발굴 나서<br>학과폐지·교직원-입학정원 축소등 걸림돌 많아 성사 전망은 불투명


전국의 대학들이 구조개혁의 거센 회오리 바람에 휩싸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교육인적자원부가 대학구조개혁 기본계획을 발표한 이래 올 초까지만 해도 적극적이지 않던 대학들이 최근 실무기획단을 구성하고 세부사항을 논의하는 등 대학간 통ㆍ폐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무래도 교육부가 약속한 재정지원과 그렇지 않으면 입게 될 각종 불이익 등 당근과 채찍이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약발을 내고 있는 듯하다. 정부의 의지도 예전과는 달라 정권이 바뀌면 으레 나타났다가 사라지곤 하던 대학의 구조개혁이 이번에는 제대로 성과를 낼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통폐합 논의 본궤도 올라=성남소재 사립대학인 경원대와 경원전문대는 최근 컨설팅 결과에 따라 지난 1일 통합에 합의하고 오는 20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통합에 성공할 경우 경원대의 무역학과, 경제학과, 수학정보과, 응용통계학과와 전문대의 무역학과 등 5개학과는 재테크정보학과나 혹은 금융공학과로 거듭나게 된다. 충남대ㆍ공주대ㆍ한밭대ㆍ공주교대 등 대전ㆍ충남지역 4곳의 국립대학 총장들도 지난 29일 충남대에서 1차 회의를 갖고 ‘국립대학 구조개혁 추진위원회’를 공식 발족했다. 특히 충남대와 충북대는 중부권 거점대학 설립을 목표로 통합키로 하고, 이달 중 단대별ㆍ지자체간 설명회를 거쳐 오는 6월 학문계열별 통합을 내용으로 한 구조조정 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하기로 했다. 지난 31일 국립인 부산대와 밀양대도 당초 일정을 앞당겨 두 대학의 통합에 합의하고 조인식을 가졌다. 두 대학은 통합추진본부를 구성, 본격적인 통합절차에 들어가 내년 3월 부산대학교를 교명으로 하는 새 대학의 첫 신입생을 꼽을 계획이다. 전남대ㆍ순천대ㆍ목포대ㆍ여수대ㆍ목포해양대ㆍ광주교대 등 광주ㆍ전남지역 6개 국립대학들도 같은 날 실무기획단을 통해 이달 15일까지 자체 구조개혁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특히 전남대와 여수대는 통합대학의 명칭, 여수캠퍼스 특성화, 한의대 여수 유치 등에 합의하며 통합을 서두르고 있다. 이 밖에 경상대ㆍ창원대ㆍ진주교대ㆍ진주산업대 총장들이 지난 22일 ‘경남권역 국립대학 구조개혁추진위원회’를 결성했으며, 대구ㆍ경북지역 5곳의 국립대 총장들도 추진위 발족에 이어 지난 25일 실무기획단을 구성했다. ◇ 곳곳에 암초…전망 불투명=하지만 대학간 통합에는 학과 폐지와 교직원 수 감축, 입학정원 축소 등 여러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특히 국립대는 저렴한 등록금, 높은 교수충원률, 교수 신분보장책 등이 오히려 기득권층의 반발을 불러와 구조조정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금까지 논의만 무성했던 경상대-창원대, 전북대-군산대, 전북대-전주교대, 군산대-익산대 등의 사례는 대학간 통폐합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잘 말해주고 있다. 벌써부터 대학 구조조정을 둘러싼 불협화음도 곳곳에서 들리고 있다. 대구대는 지역 대학 중 가장 먼저 직원 급여ㆍ수 10% 감축 등을 내용으로 한 구조개혁 방침을 발표해 높고도 총장퇴진을 요구하는 직원노조와 며칠째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대전ㆍ충남권 대학들도 통폐합을 둘러싼 ‘동상이몽(同床異夢)’으로 서로간의 불신을 키우고 있다. 충남대는 권역내 통합보다도 충북대와 통합에 더 적극적인 모습이며, 한밭대는 내부 구조개혁을 통해 차라리 대전권 거점 대학으로서의 위상을 굳히겠다는 복안이다. 지난해 천안공대와 통합한 공주대도 우선 통합 안착에 무게를 두면서도 단독으로라도 행정중심도시에 입지하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현 시점에서 대학 구조개혁의 성공모델을 조기 발굴할 필요가 있는 교육부는 지난 31일 ‘대학구조개혁추진본부’를 설치한 데 이어 이달 중 대학구조개혁특별법(안)을 확정, 오는 6월 국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아직 산업대ㆍ전문대가 다른 큰 대학으로 흡수 통합된 사례외에 구체적인 진전이 미흡한 상태”라며 “정부차원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는 의미에서도 해산이나 통폐합 절차 등을 신속히 지원할 수 있는 관련 법 제정을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