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다양한 어지럼증, 원인 파악 후에 치료해야 효과 높다


어지럼증은 자기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흔들려 보이거나 움직이는 것 같은 모든 증상을 일컫는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기 때문에 가벼이 여기고 내버려두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구토나 메스꺼움 등 2차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때로는 주변이 심하게 회전하는 느낌 때문에 길을 걷다가 주저앉는 경우도 볼 수 있다. 그래서 뇌에 이상이 있나 의심해보지만 막상 검사해도 별다른 이상이 없을 때가 많다. 따라서 초기에 어지럼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어지럼증은 귀의 평형감각기능이 손상돼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정신경염의 경우 상당수는 심한 감기를 앓고 난 이후 바이러스 감염으로 전정신경에 염증이 나타나 손상된 후 나타나고 어지럼증으로 이어진다.

관련기사



머리를 어느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 핑도는 어지럼증을 느낀다면 이석증(耳石症)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석증은 전정기관 속에 있는 석회 성분의 돌이 제자리에서 이탈함으로써 어지럼증을 초래하는 것으로 다른 어지럼증과 달리 이명이나 청각 증상이 없다.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지만 재발이 잦은 편이다.

어지럼증은 전정기관이나 소뇌의 본래 기능이 떨어지면서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부정적인 정서가 치솟아오르면 뇌 중심부에 있는 감정 뇌에 영향을 줘 어지럼증을 유발한다. 감정 뇌는 공간감각을 담당하는 대뇌피질이나 소뇌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윤승일 빙빙한의원 원장은 “어지럼증은 스트레스, 과로, 감염 등에 따른 면역력저하에 의해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며 “이는 소뇌와 귓속의 전정기관의 기능 이상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한방에선 뇌내 기혈순환 촉진 및 체내독소 배출치료로 이를 개선한다. 빙빙한의원의 경우 어지럼증클리닉에서 전정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치료프로그램과 약물요법을 병행함으로써 치료효과의 시너지를 노린다.

윤승일 원장은 “어지럼증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원인을 찾기 어렵고, 증상도 심해지고, 치료도 어려워지기 때문에 발병 초기 소나기처럼 지나가는 현상이라 여기지 말고 어지럼증 전문병원에서 제대로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