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T 황창규호 지배구조 단순화 시동

쪼개진 자회사 합치고… 부문별로 묶어 계열사 줄이고…

부진한 사업 과감히 정리

경쟁력·수익성 강화 두토끼 잡기

계열사 사장에 재신임 여부 통보



황창규(사진) KT 회장이 그룹의 '지배구조 단순화' 작업에 돌입했다. 50여개 계열사 대표에 대한 재신임 통보를 신호탄으로 본격적인 정리에 나섰다. 잘게 쪼개진 자회사를 합치고, 부문별로 회사를 묶어 계열사 숫자를 대폭 줄이는 게 핵심이다. 이를 통해 불요·불급·부진한 사업을 정리하고 본업인 통신사업에 집중하면서, 비영업 조직과 임원을 대폭 줄여 '경쟁력과 수익성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T가 자회사들에 대한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1단계로 지난 4일 50여개 계열사 사장에게 해임과 유임 등 재신임을 통보했다. 임기가 만료된 KT스카이라이프와 KT렌탈, 올 연말 임기가 끝나는 BC카드 대표 등이 사임을 통보받았다. 임기가 남아있는 KT파워텔·KT네트웍스·KT스포츠 등도 해임을 통보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KT에스테이트는 대표가 자진 사임했고, kt샛과 KT텔레캅 등은 기존 사장이 KT로 발령 난 후 현재 공석이다. 큰 계열사 중에는 KT미디어허브 대표만 유임됐다. 올해 주총에서 대부분의 계열사 대표가 교체되는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보인다.


대표 해임에 이어 계열사를 묶거나 줄이는 작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계열사를 통폐합하면 임원 숫자와 비영업 조직이 크게 줄어든다.

관련기사



계열사 중 자회사와 손자회사가 많은 곳, 그리고 규모가 작은 곳이 1차 검토 대상이다. KT손자회사로 있다가 이번 주총에서 자회사로 편입된 BC카드는 딸린 회사가 5개나 된다. 자회사로 H&C네트워크와 브이피가 있고, 그 밑에 다시 이니텍, 이니텍스마트로홀딩스, 스마트로 등을 줄줄이 뒀다. KT렌탈은 물적분할로 100% 지분을 갖고 있는 KT오토리스와 KT렌탈오토리스를 자회사로 두고 있고, KT에스테이트도 자산유동화 회사인 kt AMC의 지분 100%와 임대사업을 관리하는 KD 리빙 지분 51%를 가졌다.

업무 관련성이 있는 회사도 묶일 가능성이 높다. 미디어 분야는 KT가 지분 100%를 갖고 인터넷TV(IPTV)를 담당하기 위해 신설한 KT미디어허브와 kt oic, 싸이더스 FNH, 유스트림코리아, kt뮤직, kth 등 다양하다. 그러나 KT미디어허브만 업계 선두자리를 지키고 있을 뿐, 나머지는 업계 중하위권에 머물러 독자생존이 쉽지 않다. 이동섭 SK증권 애널리스트는 "KT가 음악, 미디어, 커머셜, 마케팅 등 같은 부문을 묶으면 시너지효과도 낼 수 있고, 비영업 조직 축소로 비용도 크게 줄어든다"며 "KT의 내부 지분율이 높아 큰 그림만 그리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비통신 분야 계열사의 매각은 중장기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매각은 매수자가 필요하고, 가격도 맞아야 하는 등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KT 관계자는 "계열사 중에 업무범위가 작고 업계 리딩 컴퍼니가 아닌 곳을 중심으로 모회사나 다른 관계사로 흡수 합병시키는 작업부터 시작될 것으로 본다"며 "합병은 내부 지분율만 높으면 진행할 수 있지만, 매각은 거래 상대방이 있기 때문에 당장 진행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라고 못박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