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로존 새 양적완화 강구해야

OECD, ECB에 과감한 조치 권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에 대해 경기 침체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미국식 자산매입 등 새로운 양적완화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OECD는 29일(현지시간)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내고 "유로존 경제가 회복 기조를 보이려면 단순한 금리인하 이상의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유럽중앙은행(ECB)은 미국식 자산매입 형태의 양적완화를 포함한 보다 새롭고 더 공격적인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OECD는 올해 유로존 경제가 0.6%가량 축소될 것이라고 지난해 11월보다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이같이 밝혔다.


OECD는 이어 권역 내 대출 활성화를 위해 유로존의 기준금리를 0.25%포인트가량 추가로 인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준금리를 인하할 경우 예금 금리가 마이너스 상태로 유도, 기업ㆍ개인에 대한 대출을 꺼려온 남부 유럽 등지의 은행들이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에 나서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유로존은 지난 1ㆍ4분기까지 7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며 1999년 창설 이래 최악의 경기 침체를 보이고 있다. 조기 출구전략 가능성이 제기되는 미국과는 달리 국가 부채 및 은행권 위기가 여전해 회복 국면에 접어들려면 1년 이상이 더 필요하다는 평가다.

피에르 카를로 파도안 OECD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추가 조치를 내놓지 않고 은행 회복을 실현하지 못한다면 큰 위기가 올 수 있다"며 "은행이 화폐를 찍어내 자산 매입에 나서는 등 '유로존 스타일'의 양적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OECD의 권고는 이달 초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도 언급했던 내용이다. 특히 올해로 7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 전망되는 그리스의 경우 이미 디플레이션 조짐마저 나타나고 있어 추가 해법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ECB는 금융위기 이후 자체 국채매입 프로그램을 가동했으나 은행의 통화 공급이 인플레이션을 촉발시킬 수 있다며 관련 유동성을 회수한 바 있다.

한편 OECD는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1%로, 내년은 4.0%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반면 미국의 성장률은 올해 1.9%, 내년 2.8% 성장세로 상향됐고 일본은 올해 1.6%, 내년은 1.4% 성장할 것으로 상향 조정됐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