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지국 공용화 물건너 갔나

◎수도권 설치목표 243개소에 확보 20여곳뿐/망체계 달라 시일촉박 안테나만 공유 추진통신업체들의 사업비절감과 환경보호등을 위해 정부차원에서 강력 추진중인 기지국 공용화 작업이 갖가지 걸림돌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전파기지국관리(대표 문영환)에 따르면 6일 현재 수도권에서 공용화 대상 부지로 확보한 지역은 20여곳에 불과해 목표치인 2백43개의 10%에도 못미치고 있다. 통신업체들이 공용화에 원칙적으로 찬성하고 있고 명분도 뚜렷하지만 이처럼 작업이 부진한 것은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기 때문. 우선 기지국공용화를 위해서는 이미 업체별로 마련해 놓고 있는 망구성(셀플래닝)을 상당한 자금을 들여 수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럴경우 최적 구성에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또 서비스 분야별로 기지국 적합 장소가 다른 점도 큰 어려움의 하나다. 예를들어 PCS(개인휴대통신)는 전파특성상 10층 높이가 기지국 설치장소로 가장 적합한데 비해 TRS(주파수공용통신)는 15∼20층 높이가 적합하다. 또 현실적으로 서비스 개시시기가 너무 촉박하다는 것도 주요인이 되고 있다. 4∼5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무선데이터통신 업체들에겐 사실상 기지국 공용화 작업이 물건너 간 셈이다. PCS업체들도 서비스 개시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경쟁하고 있어 공용화를 위한 논의 일정 자체가 빡빡한 형편이다. 공용화 대상지가 결정될 때까지 기다릴 여유가 없다는 얘기다. 이에따라 업체들은 기지국은 별도로 설치하되 안테나만 공유하는 방안을 별도로 논의하고 있다. 사업추진 주체인 한국전파기지국관리(주)의 맨파워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부분이 기존 정통부산하의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의 인원으로 구성된 전파기지국관리는 기지국 확보 및 설치에 따른 실무경험이 부족한 실정이다. 경험이 많은 업체 실무자들이 이들을 불신하고 있어 잦은 마찰을 빚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통신업체들은 경기도 의정부 천보산에 확보한 기지국의 경우 전파기지국관리는 업체들에게 당초 분담한 금액외에 추가로 많은 액수의 자금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파기지국관리(주)의 한 관계자는 『당초 2월말까지 2백43개 기지국에 대한 공용화방안을 확정할 예정이었으나 작업진척도가 불투명해 이달말로 연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직원들의 실무경험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최근 토목, 건축 전문가들을 충원했다』고 설명했다.<백재현>

관련기사



백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