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 김 주한美대사, 4개월만에 ‘지각 인준’

그동안 대북강경파들 반대…빠르면 이달내 부임 예정


성 김 주한미국대사 지명자에 대한 인준안이 13일(현지시간) 미국 상원을 통과했다. 미 상원은 이날 성 김 지명자에 대한 인준안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이에 따라 한미 수교 이후 129년만에 처음으로 한국계 주한미대사가 곧 부임하게 됐다. 성 김 신임대사는 이르면 이달내 한국으로 부임할 것으로 알려졌다. 성 김은 지난 6월 신임 주한 미대사로 지명됐으나 버락 오바마 정부의 대북정책에 불만을 제기하는 공화당 상원 2인자인 대북강경파 존 카일(애리조나) 의원의 인준보류(Hold) 요구로 지난 4개월여간 인준이 보류돼 왔다. 성 김 대사는 당초 미 의회의 8월 휴회 전 상원 인준을 통과한 뒤 8월 말 부임할 예정이었다. 이번 인준안 통과는 이명박 대통령의 이날 미 상ㆍ하원 연설 직전에 이뤄졌다. 이를 두고 이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을 맞아 미 의회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이행법안 통과와 주한 미대사 인준안 통과라는 ‘선물’을 준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다. 성 김 대사의 인준이 늦어지면서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오바마 대통령과 이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에는 이미 서울을 떠난 캐슬린 스티븐스가 주한미대사 자격으로 배석했다. 성 김은 오바마 행정부 출범 후 6자회담 특사로 지명돼 상원 인준을 거쳐 ‘대사’ 직급으로 승진하며 한국계 첫 대사 기록을 세웠다. 또 2006년 한국계로 첫 국무부 한국과장에 임명되는 등 미 국무부에서 첫 한국계 임명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미 의회 소식통은 “카일 의원을 포함해 상원에서 많은 의원들이 오바마 정부의 북한 정책이 상당히 소프트해졌다는 우려를 제기했다”고 그동안 인준보류의 배경을 전했다. 카일 의원은 지난 12일 국무부에 서한을 보내 6자회담 재개 움직임에 깊은 우려를 표시하는 한편 북한이 6자회담에 다시 참여하는 대가로 어떤 금전적 유인책도 주지 말라고 촉구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