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뉴욕증시, 랠리 재개

뉴욕증시가 헤지펀드 거물의 낙관론이 호재가 돼 큰 폭으로 올랐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는 최근 9거래일 동안 8거래일 동안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23.57포인트(0.82%) 상승한 15,215.25을 기록했다. S&P 500 지수는 16.57포인트(1.01%) 오른 1,650.34를, 나스닥 종합지수는 23.82포인트(0.69%) 뛴 3,462.61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와 S&P 500 지수는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개장전 헤지펀드 아팔루사의 데이비드 테퍼 회장은 경제전문 방송인 CNBC에 출연 “앞으로도 강세장이 지속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0년 9월 “연방준비제도가 주가를 지지할 것”이라며 이른바 ‘테퍼 랠리’를 촉발시킨 바 있다. 그는 “미국을 포함해 중앙은행이 양적완화 정책을 취하는 시장에서는 유동성이 주가를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미국의 지난달 수입물가가 전달에 비해 0.5% 하락하며 2개월째 떨어졌다는 소식 역시 호재로 작용했다. 이는 시장전문가들의 예상치와 대체로 일치하는 수준이며, 지난해 12월 이후 5개월만에 최대 하락폭이다.

종목별로는 테퍼 회장이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씨티그룹, JP모간체이스를 중심으로 금융주가 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애플은 별다른 악재가 없는 가운데서도 많은 거래량을 수반하며 2% 이상 큰 폭으로 하락했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18.2%나 줄어든 것이 주가 하락의 요인으로 풀이됐다. 또한 신제품을 내놓은 블랙베리와 노키아도 실망감에 동반 하락했다.

한편, 유가와 금값은 내렸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96 센트(1.0%) 내려간 배럴당 94.21 달러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6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9.80 달러(0.7%) 하락한 온스당 1,424.50 달러를 기록했다.


이학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