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영업이익 1조 클럽] IT·에너지·산업재 눈에 띌듯

코스닥 상장 194社<br>업종별 리더업체 두각… 매출·영업익·순익 모두 증가 예상<br>LG마이크론 순익 1,556억 흑자전환 예상<br>SK브로드밴드 순익 4,384억 적자로 전망


올해 코스닥시장 상장사들의 실적은 일부의 우려와는 달리 중대형사에 선방에 힘입어 호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각 업종 리더 업체들이 시장을 주도하면 전체 분위기를 호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9일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코스닥상장사 194개 업체의 올해 실적전망을 조사한 결과 매출은 12.2%, 영업이익은 23.3%, 순이익은 14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매출은 지난해 280조6,398억원에서 314조9,706억원, 영업이익은 27조4,853억원에서 33조8,895억원, 순이익은 10조2,806억원에서 24조7,913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업종별로는 정보기술(IT), 에너지, 산업재 등의 실적이 눈에 띌 정도로 호전될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대상인 IT 업종 97개사의 올해 매출은 120조8,625억원, 영업이익은 13조370억원, 순이익은 9조9,953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지난해 보다 각각 13.1%, 22.9%, 312.8% 늘어난 것으로 IT업종의 선전은 코스닥시장 전체의 실적개선을 이끌게 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IT 분야 최대규모 기업인 LG마이크론의 실적은 눈에 띌 정도로 호전될 전망이다. LG마이크론의 올해 매출액은 9조5,426억원, 영업이익은 4,568억원, 순이익은 1,556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매출은 지난해보다 23% 증가하는 반면 영업이익은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순익도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재 업종의 경우에도 매출액은 22.5%, 영업이익은 37.5%, 순이익은 130.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업종에 속한 기업 30개중 KCC건설은 올해 매출은 10조2,040억원, 영업이익은 4,160억원, 순이익운 3,39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12%, 4%, 19%씩 늘어난 것이다. 경기소비재 업종의 경우 상대적으로 실적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매출은 0.8%, 영업이익은 18.0%, 순이익은 61.1%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최대 기업인 GS홈쇼핑의 경우 올해 매출은 5조7,092억원, 영업이익은 7,530, 순이익은 5,401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해 대비 4%, 8%, 2%씩 줄어든 것이다. 에너지 업종의 경우 지난해보다 매출은 28.2%, 영업이익은 28.7%, 순이익은 337.9%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필수소비재 업종의 경우 매출, 영업이익,순이익이 각각 8.9%, 44.6%, 72.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 업종은 매출은 28.5%, 영업이익은 51.0%, 순이익은 58.1%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이나 소재 업종은 실적이 다소 악화될 전망이다. 금융은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1.8%, 6.1% 증가한데 그치고 매출은 오히려 3.0%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소재도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8.9%, 18.1% 증가하지만 영업이익은 5.8%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시장에서 단일기업으로 가장 큰 SK브로드밴드의 경우 올해 매출액은 19조1,687억원, 영업이익은 2,623억원, 순이익은 4,384억원의 적자로 전망됐다.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2% 늘어나고,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되는 셈이다. 그러나 순이익은 그저 적자 폭을 55% 줄이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에프앤가이드 김군호 사장은 “경기호전 여부에 따라 다소 달라지겠지만 규모가 크고 우량한 기업들의 실적전망은 결코 나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들이 시장주도업체라는 점에서 전체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