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파이낸셜 포커스] 민영화 3년만에 주가 59% 하락 "성과 기대 못미쳐"

■ 국민주 1호 포항제철株 보니

우리나라 국민주 1호는 포항제철(현 포스코)이다. 정부는 지난 1988년 포철 민영화 과정에서 소득 재분배를 명분으로 정부 지분 69.1% 중 34.1%인 3,128만주를 청약을 통해 322만2,000명에게 팔았다. 인수자는 중하위 소득계층 310만1,000명, 일반 청약자 10만1,000명, 우리사주조합원 2만명 등. 매각 가격은 주당 1만5,000원이었으며 우리사주조합원과 중하위 소득계층 보급분은 공모가의 30%를 할인한 1만500만원에 책정됐다. 포철은 1968년 조상들의 피로 얻은 대가인 대일청구권자금 1억1,950만달러 등을 기반으로 탄생한 '국민기업'인 만큼 국민주 공모에 정당성이 실렸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국민주 보급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민영화 3년 만인 1991년 주가가 상장가보다 59%포인트 추락했던 것. 국내 자본시장 규모를 고려하지 않은 채 너무 많은 주식이 시장에 쏟아져 증시에 엄청난 압박을 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중하위 소득계층 중 83%인 259만명은 국민주를 상장 즉시 팔 수 있는 정상가격으로 샀고 나머지 53만명은 할인가격에 샀기 때문에 차익을 실현하기 위해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주가하락이 이어졌다. 주가가 급락하자 국민주를 산 중하위 소득계층은 손실을 조금이라도 줄이고자 경쟁적으로 처분했다. 실질배당률이 정기예금 이자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우리금융을 국민주 공모방식으로 매각한다면 공모 시기를 분산해 시장충격을 줄이고 보유기간이 길수록 할인율을 높이는 등 차등화 해 장기보유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