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간건설수주 1분기 22% 급감

■건설경기 실태는

최근 건설수주 감소와 주택경기 위축 등으로 국내 건설산업이 경착륙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국내 건설수주는 지난해 6월을 정점으로 증가율이 둔화되기 시작, 11월부터는 본격적인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올 1ㆍ4분기 건설수주는 전년동기에 비해 14.2%, 지방은 36.3% 감소했다. 민간 부문은 정부의 잇단 규제로 이 기간 동안 22.1% 줄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건설업계는 공공 부문 수주에 사활을 건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공공공사는 업체간 과열경쟁으로 인해 채산성이 크게 하락, 10건 중 7~8건이 손해 보는 사업장이다. 주택 건설실적 감소폭도 예사롭지 않다. 건설교통부 자료에 의하면 올 4월 전국의 주택 건설실적은 1만8,500가구로 지난해 4월보다 33% 줄었다. 특히 올 1~4월간 건설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40% 감소했다. 이 같은 건설경기지표를 감안하면 국내 건설산업의 경착륙 가능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특히 지방 건설시장은 붕괴 직전에 놓여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건설업면허를 자진 반납하는 업체도 늘고 있다. 올 1~3월에 면허를 자진 반납한 건수는 823건. 지난해 같은 기간(12건)에 비해 68배에 이른다. 또한 부도를 낸 업체는 1~4월 48개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개사가 늘었다. 설사가상으로 철강 등 원자재난까지 겹쳐 공사단가 상승과 공기지연으로 올해 건설업계의 피해액은 최소 5,000억원, 최고 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의 김성식 박사는 “건설경기가 최근 2~3년간 호황국면을 끝내고 급격히 냉각되고 있다”며 “건설업체들이 이 기간에 몸집 부풀리기에 주력했던 점을 감안하면 하반기에는 구조조정의 회오리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