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200억에 발목잡힌 우주인 사업

최수문 기자<경제부>

한국인 우주인 배출사업이 흔들리고 있다. 방송 3사를 중심으로 한 사업추진협의체 구성부터 삐걱거린다. 협의체 구성 시한은 지난해 연말. 하지만 지금까지 윤곽조차 나오지 않았다. 전체 260억원의 사업비 중 200억원을 부담할 협의체 구성이 지연되는 이유는 손익계산 탓이다. 광고나 홍보효과를 통한 투자비 회수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우주인이 탄생할 오는 2007년은 ‘빅 이벤트’인 대통령 선거가 있어 광고효과가 떨어진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과학기술부는 당초 계획대로라면 지난해 12월 서류전형(1차)을 시작으로 4단계의 선발과정을 거쳐 5월 우주인 후보 2명이 확정돼야 한다. 확정된 후보 2명은 2007년 3월까지 러시아 가가린 우주센터에서 훈련을 받고 이들 가운데 1명을 그해 10월 러시아 우주선 ‘소유즈’에 탑승시킬 계획이었다. 아무리 빨라야 2007년. 때가 늦어도 한참 늦었다. 중국은 이미 유인우주선 발사까지 마쳤다. 일본이 우주인을 배출한 지도 오래전이다. 도시국가 싱가포르마저 우주인을 배출하고 있다. 미적거릴 여유가 없다. 물론 우주인사업을 반짝 이벤트라고 폄하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민간이 알아서 하면 모르되 국가 예산을 투입해서 안된다는 지적도 있다. 심지어 2007년이 대선의 해이어서 우주인사업을 진행시켜서는 안된다는 주장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과연 그럴까. 우주인 사업이 과학기술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소련에 인공위성 발사 기술에서 뒤졌다는 ‘스푸트니크 쇼크’가 없었다면 오늘날 미국의 과학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우주 개발은 기본적으로 경쟁이다. 경쟁은 돈을 수반한다. 가뜩이나 뒤떨어진 처지에 돈 때문에 경쟁을 포기한다면 격차는 영원히 좁힐 수 없다. 우주사업은 당위성을 갖고 있다. 미래의 희망을 상징하고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2007년 스케줄 고수라는 마지노선을 쳤지만 민간 부문에서 잡음이 있다면 직접 나서야 한다. 방송사의 이해와 맞물린 200여억원의 돈에 미래가 저당 잡히고 사업이 추진력을 잃는다면 피해는 자손에게 돌아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