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기업 '알짜벤처' 찾기 고심

8일 업계에 따르면 대기업들간에 벤처투자 열기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유망 벤처를 발굴하는 문제가 주요 과제로 등장, 「숨은 진주」를 찾기 위한 묘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삼성물산의 경우 「과거(科擧)」 라는 이름의 공모형태로 사업성 있는 아이디어를찾고 있다. 삼성물산은 지난해말 「제1회 대한민국 벤처 과거」를 통해 약 1,200개의 출품작 중 공공장소에서 모든 휴대폰을 자동적으로 진동 모드로 전환시켜주는 아이템을 장원으로 채택, 3억원의 투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어 학생 대상의 「제1회 대한민국 주니어 벤처 과거」를 다음달초까지 시행해 장원 1명을 직원으로 채용하거나 사업화 및 실리콘밸리 견학을 지원할 계획이다. SK상사의 경우 직접 대상자를 찾기보다는 창업투자회사를 활용하거나 유망업체와의 합작 형태로 투자에 나서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11월 창투사인 「인터베스트」에 지분 35%(35억원)를 참여해 유망 기업 발굴을 하고 있으며 보안 메일 시스템인 「데일리시큐어」와는 합작형식으로 손을 잡았다. 삼성전자는 벤처투자 창구를 마련, 업체로부터 투자요청이 올 경우 직접 기업체를 방문해 사업성을 점검하고 전문가 집단을 활용해 투자를 결정하기로 했다. LG의 경우 그룹 차원에서 창투사를 통해 각 부문의 유망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쪽을 이용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서울 목동 등 전국 주요 지역에 벤처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벤처회사를 입주시켜 임대료 대신 주식을 받는 방식으로 투자할 방침이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벤처투자를 계획하는 기업들로서는 유망 기업을 찾는 게 급선무가 됐다』며 『사업성을 가진 유망기업들은 자기들에 유리한 쪽을 골라 자금을 모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훈기자LHOON@SED.CO.KR

관련기사



이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