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非 소비지출 부담 사상최고

2분기 비중 18.60%로 상승

가계이자나 세금, 연금(국민연금ㆍ건강보험) 같은 비소비 지출 부담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급증했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ㆍ4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농ㆍ어가 제외)의 소득에서 비소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8.60%로 지난해 2ㆍ4분기보다 0.63%포인트 상승했다. 월 100만원을 벌어 19만원가량을 비소비 지출로 쓴 셈이다. 2ㆍ4분기에 18%대를 기록한 것은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이는 2ㆍ4분기 비소비 지출이 월평균 66만539원으로 11.5% 증가하면서 같은 기간 소득 증가율(7.7%)을 크게 웃돌았기 때문이다. 비소비 지출은 세금이나 국민연금ㆍ건강보험ㆍ이자 등의 경직성 비용 항목 등을 말한다. 월급으로 사전 공제되는 항목이 대부분이어서 비소비 지출이 증가하게 되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줄어들어 살림살이가 빠듯해질 우려가 커진다는 얘기다. 이 같은 비소비 지출 증가는 경기회복에 따라 취업자와 소득이 늘었기 때문이지만 가계대출 증가로 이자비용 부담이 커진 것도 한몫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무엇보다 경기개선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기 때문이고 소득이 많이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항목별로 보면 근로소득세와 재산세ㆍ자동차세 등 경상조세가 지난해 2ㆍ4분기보다 15.0%(8만1,918원) 증가한 9만4,242원으로 종전 2ㆍ4분기 최고치였던 2008년의 8만7,409원을 크게 웃돌았다. 국민연금을 포함한 공적연금과 건강보험료 등의 사회보장 지출은 각각 12.2%, 11.2% 증가했고 이자비용 지출도 지난해 2ㆍ4분기보다 17.6% 늘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