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펀드 웃고 일본펀드 울고"

중국투자펀드 최고 수익률… 일본펀드는 유일하게 마이너스

일본 투자펀드가 최근 세계적 주가 하락세 여파로 국내 판매중인 역외펀드 가운데 유일하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펀드는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중국펀드는 일본펀드의 4분의 1 수준인 단 2개만이 국내에서 팔리고 있어 투자국에 대한 관심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8일 한국펀드평가와 은행권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말까지 중국에 투자하는 역외펀드의 수익률은 달러 기준으로 25.2%를 기록했다. 지난달 한달간은 세계적 주가 하락세 영향으로 3.79% 밀렸으나, 6%대 수준인 역외펀드의 평균 하락률에 비해서는 선전했다. 반면 일본에 투자하는 펀드들의 연중 수익률은 마이너스 2.51%를 기록하며 국내에 판매되는 역외 펀드들 가운데 유일하게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달러가 아닌 엔화로 투자되는 일본 펀드의 수익률은 마이너스 8.72%로 더 저조했다. 이처럼 일본펀드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이나, 국내에서 판매중인 펀드 수는 8개로 수익률이 좋은 중국펀드의 2개에 비해 4배나 많았다. 이탈리아와 인도네시아 투자 펀드도 수익률이 23.14%와 22.16%로 2, 3위를 기록했으나, 국내 판매 펀드 수는 각각 2개와 1개에 그쳤다. 미국펀드가 2.74%의 수익률에 그치고 있으나, 16개나 팔리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실적이 부진한 일본펀드의 수가 중국펀드를 크게 웃돌고 있는 것은 지난해 수익률을 기준으로 한 타성에 젖은 펀드 판매와 투자 관행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펀드평가 이동수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일본 주가가 50% 가량 급등하며 호조를 보이자 일본 펀드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며 "원자재 펀드 판매때 보듯 미리 대응하지 못한 채 가격이 조정받기 시작할 때 판매되는 경우도 종종있다"고 말했다. 외환은행 오정선 압구정 PB팀장은 "지난해 중국의 긴축 정책에 대한 우려가 강해 중국펀드 투자에 소극적이었다"며 "지난해말 일본펀드에 가입한 투자자들은 약간손실을 입었으나, 1년간 수익률이 30% 수준이라 아직은 갈아타기보다 관망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펀드 투자국에 대해 더욱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금융연구원 이명활 연구위원은 "은행 등 역외펀드를 판매하는 금융회사들이본점 차원에서 펀드의 성격과 함께 투자지역에 대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있다"며 "위험도가 직접투자보다 낮은 간접투자 역시 저축이 아닌 투자인 만큼 투자자 자신의 연구도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