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43개 대기업 내부거래 비중 12%에 144조

공정위, 43개 집단 1,083개 계열사 내부거래내역 첫 분석

STX, 현대차가 비중 가장 높아. 총수일가나 계열사 지분 높을 수록, 규모가 작을 수록 내부거래비중 높게 나타나. 국내 43개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비중은 12% 정도이지만 비상장사가 상장사보다, 총수 있는 집단이 총수 없는 집단보다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대기업 집단 중에서 STX, 현대자동차, OCI 등의 내부거래비중이 20% 이상을 차지해 높은 편에 속했으며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포스코 등 5대 대기업그룹의 내부거래금액합계는 전체의 70%(103조원)를 넘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7일 국내 43개 대기업집단의 계열회사 1,083개사의 계열회사간 상품ㆍ용역거래 현황을 처음으로 분석 공개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대기업집단의 계열사에 대한 매출액은 전체 매출액 1,201조5,000억원의 12.04%인 144조7,00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총수일가나 계열사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규모가 작은 회사일수록 내부거래비중이 높았으며 업종 중에선 SI(시스템통합관리), 부동산, 도매, 광고 등이 높았다. 비상장사(867개)의 내부거래비중은 22.59%로 상장사(216개) 8.82%보다 13.77%포인트 높았고, 총수 있는 집단(35개)의 내부거래비중이 12.48%로 총수가 없는 집단(8개, 9.18%)보다 3.30% 포인트 높았다. 내부거래비중이 높은 기업집단은 STX(23.49%), 현대자동차(21.05%), OCI(2 0.94%) 등으로 거래의 5분의1 이상이 내부거래였다. 반면 현대(1.72%), 미래에셋(1.92%), 한진(3.56%) 등은 내부거래비중이 적었다. 금액으로는 삼성의 내부거래금액이 35조3,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현대자동차(25조1,000억원), SK(17조4,000억원), LG(15조2,000억원), 포스코(10조5,000억원) 등의 순이었다. 이들 5개 집단의 내부거래금액 합계(103조5,000억원)는 43개 집단 내부거래금액의 71.53%를 차지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대기업의 내부거래에 대해 일률적 접근은 곤란하다”면서도 “총수일가 지분율이 높고, 소규모 비상장사의 내부거래비중이 높다는 사실로부터 재산증식을 위한 물량몰아주기의 개연성은 존재한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