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對中 섬유 세이프가드 해제 반대"

국내 섬유업계, 정부 발동권리 포기 움직임에 반발

‘대중국 섬유 세이프가드 조기 해제 결사 반대.’ 정부가 오는 4월 중국 원자바오 총리의 방한에 맞춰 섬유특별 세이프가드를 조기에 해제할 움직임을 보이자 국내 섬유업계가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섬유산업연합회는 지난 26일 열린 정기총회에서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섬유패션 기업과 섬유단체 임직원 이름으로 결의문을 채택, 정부에 전달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중국 섬유특별 세이프가드는 2001년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당시 WTO 회원국들에 부여한 것으로, 중국산 섬유로 국내 시장이 교란될 경우 발동할 수 있는 제도다. 하지만 중국과의 섬유 교역은 2002년부터 적자로 전환한 후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누적 적자가 45억달러에 달해 국내 섬유시장이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정부 측은 이 같은 국내 섬유업계의 피해에도 불구하고 세이프가드를 발동할 수 있는 권리를 조기에 포기하겠다는 것이다. 섬유산업연합회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중국산 면사와 티셔츠 제품 등의 수입은 전년 대비 418%와 52% 증가해 대중국 섬유특별 세이프가드 발동 요건을 충족한다”며 “하지만 정부는 이 같은 국내 섬유업계의 현실을 외면한 채 세이프가드 발동을 위한 권리를 조기에 해제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한편 대중국 섬유교역은 중국의 WTO 가입 직후인 2002년 적자로 돌아서 2005년에는 9억달러 적자, 지난해에는 적자 폭이 무려 20억달러에 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