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위기의 쌍용건설 시나리오별 진로] 쌍용건설은 부실기업? 희생양?

5,000억 출자전환 땐 경영정상화 가능한데

채권단·군인공제회 갈등에 좀처럼 해결 열쇠 못찾아


채권단 지원 무산으로 쌍용건설의 상장폐지가 기정사실화하면서 건설업계는 순위 16위의 대형 건설사가 법정관리로 넘어갈 경우 가져올 후폭풍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특히 일각에서는 애초부터 출자전환에 부정적이던 채권단이 시간만 끌다 결국 '회생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명분을 내세워 쌍용건설을 희생양으로 삼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건설업계는 쌍용건설의 현 상황에 대해 채권단이 지나치게 비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내놓은 실사보고서의 경우 오는 2017년까지 쌍용건설의 당기순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올해 4,17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시작으로 2014년 236억원, 2015년 191억원, 2016년 165억원, 2017년 35억원 등 4년간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내용이다.

문제는 이 추산이 채권단 지원 배제를 전제로 한 것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지난 1999년 이후 두번째 워크아웃이 진행 중이지만 쌍용건설이 손실을 기록한 것은 2000년 이후 11년 만인 2011년이 처음이다.

2011년 이후 발생한 손실 역시 캠코가 국내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의 부실을 털기 위해 대대적인 자산 할인매각 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채권 회수를 위한 무차별적 자산매각이 오히려 쌍용건설의 부실을 키웠다는 것이다.


부산 구포5구역 재개발사업이 한 예다. 쌍용은 연초 조합 등에 대여·투자한 금액 106억원 중 회수가 힘들다고 판단한 41억5,000만원을 포기했다. 뉴타운 매몰비용 관련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경우 상당 부분 보전이 가능한 돈이다.

관련기사



채권단 측에 요청했던 5,000억원의 출자지원이 이뤄질 경우 상황은 크게 달라진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발목을 잡고 있는 PF 부실을 털어낼 수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경영 정상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08년 1조9,000억원에 달했던 쌍용건설의 PF 보증 규모는 지난해 말 현재 5,400억원으로 줄었으며 2007년 3,098가구에 달하던 미분양물량도 180가구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같은 자구노력에도 불구하고 부실채권정리기금을 청산하기 전까지 쌍용건설의 대주주였던 캠코는 2003년 이후 단 한번도 경영정상화를 위한 실질적 자금지원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쌍용이 보유한 자산을 무차별적으로 팔아 채권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취했던 유일한 지원책은 서울 우이동 PF사업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700억원을 연리 10%에 인수한 것이었다.

특히 채권단은 연초 워크아웃 개시 여부를 둘러싸고 시간을 끌면서 오히려 1조4,000억원 상당의 해외수주를 무산시켰다.

결국 최소 1조원으로 예상됐던 쌍용건설의 올해 해외수주액은 1,000억원에 그치면서 경영 정상화를 위한 수주물량 확보에도 큰 타격을 입게 됐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21세기의 건축사의 획을 긋는 마리나베이샌즈호텔을 지을 만큼 기술력을 인정받는 쌍용건설을 사장시키는 것은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라고 말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