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고용부진 건보료 부담때문

1인당 연평균 3,000弗…기업들 정규직 채용 꺼려

미국경제가 회복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고용이 늘지 않는 주된 원인은 기업들의 건강보험료에 대한 부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는 19일 근로자 1인당 연평균 3,000달러에 달하는 건강보험료 부담이 유가보다도 더 빠르게 높아지면서 미국기업들이 정규직원 고용을 꺼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올 1ㆍ4분기 기업들의 의료보험료 부담은 연간기준으로 환산했을 때 8.1% 증가해 물가 및 임금상승률의 3배에 달했다.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2ㆍ4분기 근로자 임금이 전년 동기보다 2.6% 증가한 반면 건강보험료가 대부분인 복지혜택은 7.3%나 늘었다. 이처럼 의료보험료 부담으로 수익구조가 악화된 기업들은 고용을 최소화하는 한편 보험료부담을 근로자들에게 전가하거나 피부양자에 대한 진료혜택을 축소하는 등 고육책을 내놓고 있다. 심지어 기업들이 건강보험료 부담 증대를 이유로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하는 사례도 나타나 노사간에 심각한 마찰 요인이 되고 있다. 건강보험 제도가 고용증가의 걸림돌로 부각되자 이 문제는 올해 대선의 주요 쟁점 가운데 하나로 떠올랐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중소기업들이 업종별 협회를 통해 단체로 건강보험에 가입함으로써 할인혜택을 받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중이지만 보험업계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해 있다. 민주당의 존 케리 후보 측도 중병환자들의 의료비부담 가운데 75%를 연방정부가 지원함으로써 기업의 부담을 던다는 공약을 마련했지만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