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해물질 유출 막아라" 대기업 환경안전 고삐

삼성-전담조직 신설해 관리<br>LG-1,200억 투자 시설 개선<br>SK-외부 전문가 평가제 도입<br>사고때 매출액 5% 과징금<br>중견·중소 기업엔 큰 부담<br>시행령 세밀하게 논의 필요


유해물질 유출로 곤욕을 치른 재계가 잇따라 환경안전 관리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환경안전 전문가 채용부터 개보수 시설 투자, 여기에 외부 전문가 평가제 도입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유해물질 유출시 매출액의 최대 5%를 과징금으로 부과하도록 한 새로운 법령이 중견ㆍ중소 기업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시행령 마련 과정에서 세밀한 조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ㆍLGㆍSK 등 국내 주요 그룹들이 유해물질 유출의 원천 차단을 위해 환경안전 관리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그룹은 환경안전 강화를 위해 전문인력 충원과 내부 안전 조직 강화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환경안전 경력직을 추가로 선발하는 한편 내부에 부사장급을 책임자로 안전 전담조직을 신설했다. 삼성정밀화학도 전문인력 추가 충원과 내부 프로세스 개선 등 안전관리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LG그룹의 환경 안전관리 강화는 시설 개보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우선 LG전자는 오는 2015년까지 1,200억원을 투자해 안전환경시설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노후 설비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고 위험 유독물질 방제장비나 소방시설 등도 지속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이 외에 LG전자ㆍLG화학 등은 환경 안전 직원을 추가로 채용하며 안전 강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SK그룹은 자체적인 환경안전 강화 외에 외부전문가 평가제를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외부의 객관적인 의견과 평가를 환경 경영에 반영하기 위해 대학교수 및 시민단체 등 전문가 10인으로 '환경경영자문위원회'를 구성했다. 한마디로 외부 전문가의 시각으로 내부를 들여다본다는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 역시 울산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안전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정기적으로 시설을 개보수 해야 하는 정유업계도 기존 환경안전 시스템을 대폭 강화하는 등 전업계가 유해물질 유출을 막기 위한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있다.

한편 유해물질 유출시 매출액의 5%까지 과징금으로 내도록 한 유해물질관리법 개정안이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중견ㆍ중소 업체를 중심으로 우려의 시각이 커지고 있다. 석유화학협회의 한 관계자는 "유해물질 유출에 따른 책임은 져야 하지만 중견ㆍ중소 기업의 경우 한 번 유해물질 유출시 과징금 규모가 회사의 전체 이익보다 많다"며 "세부 시행령 마련 과정에서 좀 더 세밀하게 논의가 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종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