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악성미분양’ 54% 돌파‥4년만에 4배로 늘어

전체 미분양 줄었지만 준공후 미분양은 되레 증가

전국 미분양주택 2채 중 1채는 공사를 마쳤지만 주인을 찾지 못해 ‘빈집’으로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최근 4년간(2007.7~2011.7) 전국 미분양아파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아파트가 2007년 14.2%에서 올해 54.3%로 급증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전국 미분양아파트 총 7만87가구 중 준공 후 미분양은 3만8,085가구다. 전국 미분양아파트 가구수는 지난 2008년 7월 16만595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감소했으나 매수자들이 준공 후 미분양보다 일반 미분양에 몰리면서 ‘악성 미분양’ 비중은 커졌다고 업체는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이 각각 37.5%와 65.5%를 기록했다. 서울(49.1%)의 악성 미분양 물량은 강동구(206가구), 구로구(134가구), 성북구(115가구) 등에 많았고 경기도(40.9%)에서는 용인시(3천348가구) 미분양이 두드러졌다. 지방에서는 대구(7,481가구)의 ‘빈집’ 문제가 가장 심각했고 충청남도(4,240가구), 울산(3,477가구), 경상북도(3,342가구), 강원도(2,407가구), 경상남도(2,018가구) 순으로 준공 후 미분양이 많았다. 부동산1번지 관계자는 “수요자 입장에서는 준공 후 미분양을 매입하면 단기간에 잔금까지 마련해야 하는 부담이 크고, 빈집으로 방치된 기간이 길수록 해당 주택에 대한 인식도 악화되기 때문에 이를 기피하게 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