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크로아티아 7월1일부터 EU 회원국

크로아티아가 다음달 1일부터 유럽연합(EU)의 정식회원국이 된다.

EU의 28번째 회원국인 크로아티아는 또 옛 유고연방 인접국인 세르비아와 코소보, 보스니아 등의 EU 가입을 이끌어 내전으로 훼손된 발칸반도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경제발전의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크로아티아는 EU 회원국으로서 국가 운영 기준을 EU 규정에 맞춰야 한다. 아울러 EU 회원국가와 자유무역 효과도 누린다. 크로아티아는 특히 EU 가입을 계기로 조선ㆍ관광 등의 산업에 외국의 투자가 늘어나고 사회기반시설 건설 등에 필요한 재원을 EU로부터 지원받아 자국 경제의 도약을 희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크로아티아 정부는 30일(현지시간) 수도 자그레브에서 EU 가입을 공표하고 이를 자축하는 기념식을 거행한다. 이보 요시포비치 대통령과 조란 밀라노비치 총리가 EU를 상징하는 ‘환희의 송가’가 울려퍼지는 가운데 기념 축사를 할 계획이다. 이날 오후 8시 자그레브 중심 광장에서 시작하는 기념식에는 EU 고위 인사와 각국 정부 대표, 외교 사절이 참석한다.

아드리아해를 낀 크로아티아는 인구 440만명에 면적이 5만6,594㎢로 남한(9만9,720㎢)의 절반보다 조금 크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약 1만3,900달러며 대다수가 가톨릭 신자다. 동유럽 공산정부들이 붕괴한 직후인 지난 1991년 옛 유고 연방에서 탈퇴하면서 4년간 세르비아 등과 발칸반도 내전인 ‘독립전쟁’을 치렀다.

내전 종식 후 크로아티아는 2001년 EU 가입 전 단계인 '안정제휴협정'을 체결했으며 유고 전쟁 범죄자를 체포해 국제 유고전범재판소에 넘기고 슬로베니아와 국경선을 확정했는가 하면 이탈리아와 영토 소유권 분쟁을 매듭짓는 등 가입 조건을 완수했다. 이어 지난해 EU 가입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치러 가입 절차를 사실상 마무리했다.

또 EU 가입을 위해 올해 초 식품 위생 기준을 EU 기준에 맞추는가 하면 최근에는 국경 검문소와 세관을 없애는 등 준비 작업을 벌였다. 그러나 독일 dpa통신은 국가 전반을 ‘EU 수준’에 맞췄지만, 아직도 공공부문에 만연한 부패를 근절해야 하는 과제 등이 남아 있다고 최근 특집 기사에서 지적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