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밥 갈수록 덜 먹는다

1인당 쌀 소비 10년새 20㎏↓

식생활이 서구화되며 1인당 쌀 소비량이 10년 전보다 20.8㎏이나 줄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양곡연도의 가구 부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2.8㎏의 전년보다 1.2㎏(-1.6%) 감소했다. 10년 전인 2000년(93.6㎏)과 비교하면 1인당 연간 20.8㎏을 덜 소비했다.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05년 80.7㎏, 2006년 78.8㎏, 2007년 76.9㎏, 2008년 75.8㎏, 2009년 74.0㎏으로 매년 감소해왔다. 특히 대체식품 소비가 많은 비농가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9.8㎏으로 농가(118.5㎏)의 58.9%에 불과했다. 주식용으로 소비한 1인당 쌀 소비량은 71.3㎏으로 전년 대비 1.4㎏(-1.9%) 줄었다. 전체 1인당 쌀 소비량 중 주식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97.9%로 전년(98.2%)에 비해 감소한 반면 떡ㆍ과자용은 1.9%로 전년(1.6%)에 비해 소폭 늘었다. 1인당 하루 평균 쌀 소비량은 199.6g으로 전년보다 3.3g(-1.6%) 줄었다. 월별 쌀 소비량은 설이 포함된 2월에 가장 많고 여름 휴가철인 8월에 가장 적었다. 우리나라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일본(58.5㎏), 대만(48.1㎏)에 비해 높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쌀 소비 감소량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2.1㎏씩 줄어 일본(0.7㎏), 대만(0.5㎏)보다 감소율이 높았다. 한편 1인당 연간 식료품 소비량을 살펴보면 1인당 축산육류 소비량은 1999년 30.5㎏에서 2009년 36.8㎏, 1인당 과실 소비량은 56.1㎏에서 67.7㎏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1인당 결식 횟수는 월 1.4회였으며 남자는 30대 초반이 월 3.7회로 가장 많았고 여자는 20대 후반이 월 6.3회로 최다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