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백신 자급률 7년 안에 80%로 올려 “국가경쟁력 키우겠다”

정부가 국내 백신산업을 육성해 2020년 까지 백신 자급률을 80%로 올리기로 했다.

5일 보건복지부는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복지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부, 외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여러 부처가 함께 추진하는 ‘백신산업 글로벌 진출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공적개발원조(ODA)나 제약 정책펀드 등을 활용해 국내 백신을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시장에 맞춤형으로 수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힘쓰기로 했다.

국내 생산 백신이 세계보건기구(WHO)의 사전적격성(PQ) 심사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해외 공관·코트라(KOTRA)·보건산업진흥원 해외지사를 활용해 국외 시장 개척에도 나서기로 했다.


국가에서 비용을 지원하는 필수 예방접종 백신의 항목을 확대하고 폐렴구균 등 성인 백신시장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여러 종류의 백신을 한 번에 접종할 수 있는 다가백신 개발에도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또 대학이나 벤처기업을 위한 생산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에 고려해 백신전용 공공 생산 대행기관(CMO)을 설립하고 민간 CMO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백신 자급률을 현행 30%에서 2020년까지 80%로 끌어올리고, 총 3조9,억원의 소득과 2만3,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복지부는 “백신은 정부조달을 통해 거래되기 때문에 시장개척에 정부역할이 크다”며 “우리의 외교능력을 동원하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