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글로벌화를

최근 가장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디지털 산업 분야가 온라인 음악 서비스 시장이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미디어 유통 및 서비스 산업의 틀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P2P나 불법 온라인 음악 서비스의 저작권 관련 문제가 사회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유료화가 정착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많은 온라인 유통 및 서비스 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음원과 동영상 콘텐츠 확보에 나서면서 날이 갈수록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법으로 MP3플레이어나 휴대폰 등 디지털기기 업체들과의 합종연횡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줄을 잇고 있다. 레인콤의 자회사인 ‘유리온’도 많은 콘텐츠 보유 업체들과 협업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에는 SM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인 ‘판당고코리아’와의 합병작업을 진행 중이다. 유리온은 SM엔터테인먼트가 보유하고 있는 한류(韓流)라는 강력한 무기를 활용해 세계적인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업체로 발돋움할 수 있으며 SM도 레인콤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계 서비스가 가능해 콘텐츠 시장에 돌파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많은 업체들이 국내 음악을 국내 중심으로 서비스 하는 데 그치고 있다. 업체마다 비슷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공급한다면 국내 업체들끼리의 출혈경쟁만 심화될 뿐이다. 그런 점에서 콘텐츠 서비스 글로벌화에 박차를 가하는 미국 애플사의 아이튠즈 서비스의 성공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최근에 한류 콘텐츠를 잘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많다. 중국이나 일본에 거액을 주고 수출했다는 얘기들도 심심치 않게 들린다. 하지만 서비스 업체에 종사하는 입장에서 보면 안타까움이 앞선다. 세계 속의 진정한 한류의 성장과 수익은 콘텐츠 생산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유통과 소비자 접점의 서비스까지 이어져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유리온’과 ‘판당고코리아’간 합병에 따른 시너지효과가 아무쪼록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의 글로벌화에 좋은 선례를 남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