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취재제한은 언론탄압…철회하라"

기자협회 서울지역 지회장들 靑 방문 성명서 발표

한국기자협회 서울지역 지회장단이 31일 오전 청와대 민원실에서 정부의 기사실 통폐합을 골자로 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 에 대한 항의서한을 문재인 청와대 비서실장 앞으로 접수시키고 있다. /한국일보=최종욱기자

"취재제한은 언론탄압…철회하라" 기자협회 서울지회 성명…정부 "내주부터 언론보도 입장 매일 공개" 김영기 기자 young@sed.co.kr 한국기자협회 서울지역 지회장단이 31일 오전 청와대 민원실에서 정부의 기사실 통폐합을 골자로 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 에 대한 항의서한을 문재인 청와대 비서실장 앞으로 접수시키고 있다. /한국일보=최종욱기자 서울경제신문 등 한국기자협회 서울지역 37개 지회는 31일 정부의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 방안'에 대해 공동 성명서를 내고 정부의 언론 취재제한 조치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협회 지회는 또 "정부가 희대의 언론탄압 행위인 취재제한 조치를 철회할 때까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강력히 투쟁할 것"을 천명했다. 서울지역 지회장들은 이와 관련, 이날 오전 청와대를 방문해 춘추관 기사 송고실에서 항의 성명서를 발표한데 이어 대통령 비서실장을 수신인으로 해 항의성명을 민원으로 접수했다. 정부는 이르면 다음주부터 국정홍보처가 운영하는 포털사이트인 국정브리핑을 통해 언론보도에 대한 정부입장과 대응결과 등을 매일 공개키로 방침을 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국정브리핑에 공개하는 내용은 정부가 대응한 기사, 언론보도에 대한 정부입장, 대응결과 등이며 추후 정부가 언론보도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오고 간 공문과 언론중재위에 제공한 자료도 공개된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최근 '기자실 통폐합'을 둘러싼 정부와 언론계간의 갈등에 정면대응한다는 방침의 연장선으로 풀이되지만 정부가 특정기사를 자의적으로 오보로 규정하고 이를 일반에 공개함으로써 언론사와 기자의 명예를 실추시키고 언론의 정부 감시ㆍ비판기능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한편 이번 조치 발표 후 일선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벌써부터 대면은 물론 전화 취재 요청조차 거부하는 움직임이 뚜렷한 것으로 파악됐다. 급기야 이날 오후 청와대 정례 브리핑 자리에서 한 기자는 "건설교통부에 전화취재를 하는데 공보관을 통해 취재신청을 하라 하길래, 왜 그러느냐고 하니까 '취재지원방안에 맞춰서'라고 말한다"며 "이게 청와대 방침이냐"고 따졌다. 천 대변인은 이에 "청와대의 방침은 답변을 하지 말라고 한 것은 아니다"며 "대변 취재, 사무실 출입은 공보관을 통해서 하라는 것이고 전화 취재는 지침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연이어 또다른 기자가 "청와대에서 한 마디 하니까 아래에서 과도하게 몸을 사리는 것으로 봐야 하나"라고 묻자 천 대변인은 "밑의 분위기가 어떤지 모르겠다"며 말을 흐렸다. 청와대는 애써 무시하지만, 이번 조치가 시행되기도 전에 공직 사회에서는 이미 언론의 감시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상황이 확산되고 있는 셈이다 입력시간 : 2007/05/31 17:2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