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월가 리포트] 고위공직 진출 임원에 준 '특별 전별금' 싸고 시끌

씨티 등 대형 IB·헤지펀드들, 의무 근무연한 못채워도 특혜<br>주식 처분제한 규정 풀어주고 일부는 파트너십 계속 유지도


제이컵 루 재무장관(왼쪽 사진), 토마스 나이즈 전 국무 부장관

월가의 특별한 '전별금'이 논란이 되고 있다. 월가 은행 등이 회사에서 근무하다 고위공직으로 진출하는 고위 임원들에게 금전적인 특혜를 베풀어 준 것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논란을 촉발한 인물은 다름아닌 제이콥 루 미국 재무장관이다. 그는 지난 2006~2009년 시티그룹의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일했다. 블룸버그는 최근 루 재무장관이 2006년 시티그룹에 들어가면서 맺은 고용계약을 입수해 공개했다. 이 계약에 따르면 루 재무장관은 연간 100만달러의 급여를 받고, 자신의 주택 모기지와 비서의 임금을 시티그룹이 지불하는 것으로 돼 있다.


여기에 일반 임직원들과는 달리 '미국 연방정부나 규제당국의 고위직으로 진출할 경우'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삽입했다. 미국 기업들이 임직원들의 경쟁업체로의 이탈 등을 막기 위해 제한주식(restricted stockㆍ일정기간 처분을 제한하는 주식)을 보너스로 지급하는 데, 루 장관과의 계약에서는 그가 공직을 진출하면 그 즉시 제한을 풀어준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루 장관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처분할 수 있는 50만달러의 시티그룹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다.

지난달 상원의 인준 청문회에서 한 공화당 상원의원이 이 문제를 지적하자, 루 장관은 "오랫동안 공직에서 일했고, 다시 공직으로 복귀할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조항을 삽입했다"고 대답했다.


미국의 비영리 정부감시단체인 정부감시 프로젝트(POGO)는 최근 이 같은 형태의 공직 진출자에 대한 특혜가 시티그룹뿐 아니라 대형은행들과 헤지펀드 등 월가에 일반화돼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POGO에 따르면 모건스탠리의 경우, 보너스 연한을 채우지 못하더라도 정부, 규제기구, 공공기관에 진출할 때는 보너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도 자사의 임원들이 연방, 주, 지방정부의 고위 임명직 또는 선출직으로 진출할 경우, 온전히 주식으로 지급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역시 이와 유사한 규정을 두고 있다.

세계 최대의 사모펀드인 블랙스톤의 규정은 한발 더 나아가 "임원이 회사를 떠나면 그 즉시 행사되지 않은 파트너 지분을 회수하지만, 만약 정부의 특정한 직을 수행하기 위해 회사를 사직한 임원은 정부에서 일한 기간 동안 파트너십 지분을 유지한다"고 밝히고 있다.

미국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임직원들의 경쟁업체로의 이탈을 막기 위해 스톡옵션, 제한주식 등을 행사하는 데, 상당기간의 의무 근무 연한을 두고 있다. 이 기간을 채우지 못할 경우, 권리가 박탈당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월가의 많은 금융기업들은 공직 진출자들에 대해서는 이러한 제한을 풀어줌으로써 정부기관 입성을 장려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 금융기업들이 고위직에 자신들의 비즈니스에 대해 잘 알고 우호적인 시각을 가진 인물들을 포진하는 것이 자신들에게 매우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다고 POGO는 분석했다.

이러한 금융기업들의 특전을 잘 이용한 대표적인 인물은 토마스 R 나이즈 전 국무부 부장관이다. 모건스탠리 출신인 그는 지난 2010년 오바마 행정부에 입성했으며 모건스탠리는 그에게 주식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나이즈 전 부장관은 최소 500만 달러의 수입을 챙겼다. 이후 2년 남직 정부에서 일한 그는 최근 모건스탠리로 다시 복귀했다.

이 같은 월가의 공직진출자 특혜에 대해 데이브 얼맥 뉴욕스턴스쿨 교수는 "(금융기업들의 입장에서) 정부에 사정을 잘 아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 전혀 나쁠 게 없다. 그리고 민간과 워싱턴의 주요 요직을 오가는 루 재무장관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며 "특별한 혜택을 주지 않는다면 기업들이 이런 인물들을 끌어들이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2004년 엔론사태가 터졌을 때, 이 회사가 부도직전 수백만달러에 달한 임원들의 스톡옵션을 조기에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드러난 것을 계기로 관련 규제가 강화됐지만, 정부 진출자에 대한 특혜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학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