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FIU 정보 14일부터 세무조사·체납징수에 활용

2,000만원 이상 의심거래 대상

국세청은 14일부터 금융정보분석원(FIU)이 보유한 의심거래보고(STR)와 2,000만원 이상의 고액 현금거래(CTR)를 세무조사와 체납자에 대한 징수 업무에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국회를 통과한 '특정금융거래정보 보고 및 이용에 관한 법률(FIU법)'이 14일부터 시행됨에 따른 것으로 해당 정보는 관세청의 관세사범 조사 및 체납액 징수 업무에도 활용된다.


그동안 과세 당국은 조세범칙 조사 및 관련 혐의 확인을 위한 세무조사에 한해 해당 정보를 요청해 사용할 수 있었다.

특히 법 개정으로 국세청이 FIU에 요청해 확보할 수 있는 자료의 범위도 확대돼 탈세 추적에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전까지 FIU는 2,000만원 이상 고액현금거래와 1,000만원 이상의 거래 가운데 의심거래 정보를 관리했으나 앞으로는 의심거래 기준이 없어지면서 1,000만원 미만 소액으로 나눠 여러 번 입금해도 의심거래로 포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금융정보분석원은 금융기관으로부터 모든 금융거래에 대한 혐의 보고를 받아 국세청·관세청 등에 제공할 만한 FIU 정보에 대해 정보분석심의회를 거치게 된다.

관세청도 추가로 입수되는 FIU 정보를 분석해 고액현금 반·출입을 통한 재산 국외 도피 및 환치기 등을 조사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정보 활용 대상에는 ▦수입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수입가를 낮춰 신고해 관세를 탈루하는 행위 ▦수출대금을 현금으로 수령한 뒤 매출을 숨겨 소득세·법인세 등을 탈루하는 행위 ▦고액체납자의 숨긴 재산 추적 등도 포함된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