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코오롱 노조 지도부 11명 무더기 해고

"파업사태 정면돌파" 초강수<br>편법 타결보다는 법지키는게 이익 판단…원자재등 공급업체들 경영난 가중될듯

코오롱이 불법행위를 한 노조 지도부 11명을 무더기로 해고하기로 한 것은 파업사태를 정면돌파 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장기화되고 있는 파업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법과 원칙’을 제대로 적용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른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집단 해고에 대해 노조가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어 파업 사태는 당분간 해결이 어려울 전망이다. 이로 인해 코오롱 뿐 아니라 원자재 공급 업체 및 제품을 공급받고 있는 기업들의 경영난이 심화될 전망이다. ◇왜 집단해고 했나= 회사측이 집단해고라는 초 강수를 둔 것은 정당한 노동 및 영업행위까지 막는 노조에 결코 굴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실제 노조는 지난 6월23일 파업에 들어가자 마자 정문을 봉쇄하고 화물차 진ㆍ출입을 막는 등 노골적으로 실력행사에 나섰다. 회사는 한 달여 간 노조를 설득했으나 효과가 없자 고소, 고발 등 법적 절차를 밟은 뒤 곧바로 인사위원회를 열어 불법행위 주동자들에 해고를 통보했다. 윤정민 노무담당 상무는 “노조가 파업할 권리를 인정하지만 파업과정에서 불법적인 행위를 일삼는 것 까지 참을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사측은 특히 최근 LG정유 노조의 불법파업 과정에서 고임금 노동자의 파업이 여론의 지지를 얻지 못하자, 부정한 협상 보다는 법을 지키는 게 결국 이익이라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또 민주노총의 구미지역협의회가 최근 파업에 적극 간여하면서 파업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사측이 불법행위 용납이 사태해결에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렸다는 후문이다. ◇집단해고 영향과 전망은= 파업이 장기화하고 관련 업계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전망이다. 이석재 노조 사무국장은 “사측의 노조집행부에 대한 해고는 원천 무효”라며 “부당한 노동행위가 취소될 때 까지 투쟁을 계속해 갈 것”이라고 강경 입장을 밝혔다. 등돌린 여론으로 하투에서 쓴 맛만을 본 민노총도 코오롱 파업에 배수의 진을 치고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어서 코오롱 노사가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을 듯하다. 이런 가운데 파업으로 인한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이미 손실액이 500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코오롱 구미 공장의 40여 협력업체와 코오롱이 구매와 판매쪽에서 관계를 맺고 있는 하청 중소기업들은 상당수가 가동 또는 영업중단에 들어간 상태이며 몇몇 업체는 부도직전에 몰려 있다. 타이어 생산의 주원료인 타이어코드를 코오롱에서 공급받는 금호타이어 등도 원자재 난을 겪고 있으며, 1,200여명의 노동자들이 두 달 가까이 일을 하지 않으면서 공장 인근 식당 및 가게들도 문을 닫을 처지에 놓였다. 구미공장에 필름 원료를 공급하고 있는 A사장은 “휴가비는 커녕 월급도 못 주면서 직원들에게 쉬도록 강요하고 있다” 면서 “코오롱이 정상화되기 만 기다리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