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양국 정상, 역사문제·FTA엔 동상이몽

19일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역사 문제 등에 대해 두 정상의 말이 달랐다. 또한 다양한 이해관계를 내포하고 있는 한일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서도 서로의 입장 차이만 재차 확인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한일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나는 역사를 잊지 않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 한일 관계의 근간임을 여러 차례 언급했고 과거사에서 연유하는 문제들에 대해 일본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독도ㆍ위안부 등 한일 간 갈등에 대해 일본 측의 실질적인 노력이 있어야 함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노다 요시히코 총리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등 현재 한일 간 갈등에 대한 직접 언급 없이 "아쉽게도 때로 어려운 문제가 생길 수 있지만 대국적 차원에서 양국관계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중장기적 협력 토대를 다지기로 했다"고만 말했다. 출범 5개월 된 노다 내각 입장에서 일본 내 여론을 최대한 고려하며 한국을 다독여 역내에서 정치ㆍ경제적으로 고립되지 않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더구나 북핵 문제, 중국의 견제 등에서도 한국은 일본에 중요한 외교적 파트너인 셈이다. 한일 FTA는 기존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조기에 한일 FTA 협상을 위한 실무적 작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겠다"고만 밝혔을 뿐 실무작업의 기한과 다음 단계의 협상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한일 FTA가) 이른 시일 내에 하는 게 좋다는 원칙이지만 FTA는 양국이 윈윈해야 하고 업종별 견해가 다를 수 있다"며 "잘 조정해서 할 수 있다면 긍정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섣불리 추진해 국내 산업에 악영향을 주지는 않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