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내달 예보에 우선주 상환 등 급물살 기대했는데…

서울보증보험 민영화 논의 어디까지

서울보증이 부실 보험사로 지정된 것은 지난 1999년 6월. 외환위기 당시 대우ㆍ쌍용 등에 보증을 선 것이 부실화되면서 경영난을 겪었다. 이에 예금보험공사는 8차례에 걸쳐 총 10조2,5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이중 과거 우선주 발행 방식으로 예보로부터 조달했던 8,381억원을 2008년부터 3년에 걸쳐 갚았다. 서울보증 민영화 논의는 예보의 남은 상환우선주를 오는 7월 모두 상환한다는 계획에 따라 이뤄졌다. 서울보증은 올 정기주총에서 1조1,795억원에 이르는 우선주 중 갚지 못한 3,414억원을 7월까지 상환하기로 했다. 실제로 연초까지도 민영화는 자연 수순으로 받아들여졌다. 예보는 "나머지 공적자금은 보통주 매각 등을 통해 갚을 수 있어 하반기에 민영화 논의가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며 힘을 실어줬다. 1조원의 우선주 상환분을 제외한 9조원이 민영화의 관건이었는데 회사 측은 9조원 규모의 보통주를 일괄 블록딜로 처분하거나 일부 블록딜 후 나머지를 국민주 방식으로 상환하는 방안을 고려했다. 하지만 김병기 신임 사장이 민영화와 관련해 시기상조론을 내놓음에 따라 서울보증의 민영화는 다시 불투명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