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동십자각/3월 15일] '통합 창원시'가 성공하려면

지난해 말 경남 창원ㆍ마산ㆍ진해시의 행정구역 통합이 결정되면서 한창 명칭 문제로 시끄러울 때 '통합시 이름 짓기' 칼럼을 썼다. 골자는 글로벌 시대에는 국가가 아닌 도시끼리 경쟁하는 것이기 때문에 108만명의 '창원·마산·진해' 통합시를 동남권 명품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잘 맞는 이름의 옷을 입고 출발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후 다행히 명칭이 대외적으로 잘 알려진 창원시로 확정됐다. 500년 전 옛 이름을 찾은 것이다. 이렇듯 한 뿌리였던 3개 시가 오는 7월이면 짧은 역사를 달리한 채 공식적인 창원시로 출범한다. 통합 창원시의 인구는 108만명으로 수원시를 능가해 기초자치단체로는 최대 규모다. 면적은 737.01㎢로 서울시보다 큰 준광역 도시급으로서 메가시티를 열어가게 될 것이다. 그런데 요즘 선거철을 앞둔 이 지역에서는 통합청사 위치를 놓고 하루가 멀다 하게 논란이 일고 있다. 통합시로 열어가기 위해서는 청사 위치 문제 말고도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수히 남았다. 지역의 한 저명 인사는 통합시 출범에 앞서 통합시 기구에 대한 건의, 통합 소요 예산과 재원 마련 방안 등을 논의해야 하는 등 할 일이 산적한데 청사 위치 때문에 다투는 게 문제라고 했다. 금쪽 같은 시간을 지역이기주의적인 청사 문제로 허비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특히 최근 국회를 통과한 '경남도 창원시 설치 및 지원특례에 관한 법률'에는 정부가 당초 약속했던 특례 조항 등이 빠졌다. 통합시 청사 위치 문제는 지원·연계기관의 집중효과에 따른 상권 형성과 함께 부동산 가치 상승과 직결돼 지역민들의 최대 이슈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7월 당장 통합시가 출범하게 되면 지방도시에서 한 차원 넘어선 권역별 특성을 살린 광역도시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특히 통합시가 역사적·정서적 배경의 토대 위에 경제·문화·생활권까지 동일해져 창원·마산·진해 도시철도 건설 등 대형 투자사업 추진이 있어야 한다. 현재 통합준비위원회와 공무원들로 구성된 출범 준비단과 실무 지원단이 있지만 사실 이들은 통합 청사 위치 선정에 아무런 권한이 없다. 7월 새로 탄생하는 의회의 조례 제정에 따라 이뤄지기 때문에 기다려야 한다. 기다림의 미학을 되새겨봄 직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