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만두 사건이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전방위 ‘위기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국민의 먹거리와 의약품을 담당하는 정부부처이지만 그동안 위기대처 방식이 미숙했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저인망식 위기관리체계를 구상한 것이다.
식약청은 첫 단계로 각 부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기를 찾아내는 데 골몰하고 있다. 가능한 한 모든 위기요소를 찾아낸 뒤 이를 분석, 위기유형별 대응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다.
수입식품과에서는 ‘갑작스러운 전산망 장애로 인한 수입식품 데이터 유실’ 등을 위기상황으로 꼽았으며 ‘중요한 보도자료를 주말에 배포한 뒤 기자나 담당 공무원 사이에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 ‘정전으로 저온 보관해야 할 실험물질 손상’ 등도 가상 위기로 등장했다.
이처럼 정부부처에서 과별로 위기상황을 도출해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는 게 식약청의 설명이다. 강백원 혁신기획관실 사무관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나 소방방재청 등이 국가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부처의 모든 부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과 매뉴얼을 준비하는 것은 식약청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식약청은 우선 이달 중순까지 과별 위기요소를 진단한 뒤 가상 시나리오를 만들 계획이며 오는 10월에는 위기관리 마스터플랜과 매뉴얼도 작성하기로 했다. 또 위기관리 모의훈련을 실시해 대응체제를 점검하고 이의 개선작업도 병행하기로 했다.
식약청은 특히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민간 위기관리컨설팅사인 커뮤니케이션즈코리아와 손잡고 국내외의 위기관리체계를 분석, 벤치마킹할 방침이다.
김경해 커뮤니케이션즈코리아 위기관리전략연구소장은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은 국제신인도 문제와 직결된다”며 “특히 식약청은 국민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위기관리 시스템의 필요성도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