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유성기업 사태, 불법은 엄단해야

자동차 엔진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유성기업의 파업으로 현대ㆍ기아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 생산이 전면 중단될 위기에 놓이게 됐다. 자동차 엔진의 핵심부품인 피스톤링을 만드는 유성기업 노조기 지난 18일 파업에 들어가자 회사는 직장폐쇄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유성기업으로부터 피스톤링을 주로 공급받아온 현대ㆍ기아차는 물론 한국GMㆍ르노삼성과 쌍용차가 일부 자동차 생산을 중단하는 등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된 것이다. 이번 파업사태는 유성기업 노조가 무리하게 주간 연속 2교대제와 생산직 월급제 도입을 요구하면서 비롯됐다. 이는 원청업체인 현대ㆍ기아차도 아직 도입하지 않은 제도이기 때문에 회사 측은 노조의 요구를 거부하고 파업에 맞서 직장폐쇄 조치를 단행했다. 문제는 노조가 공장을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점이다. 노조는 생산설비의 전원 스위치를 내리고 각종 기계에 쇠막대기를 끼워 넣고 작업을 방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생산시설 불법점거는 물론 대체인력 투입을 방해하는 것은 엄연한 불법이다. 회사 측은 외부세력이 개입해 사태를 더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내 4개 완성차 업체가 20~70%까지 유성기업 부품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사태가 장기화되면 일본 지진사태 이후 미국 등 해외시장에서 점유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을까 걱정된다. 자동차공업협회와 자동차공업협동조합이 공권력 투입을 요청하고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유성기업 노조는 불법행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 정부는 생산시설 무단점거에 따른 생산차질이 커질 경우 공권력 투입 등을 통해 불법행위를 엄단해야 한다. 전후방 연관효과가 큰 자동차 산업의 특성에 비춰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생산과 수출 등 국가경제에 대한 타격도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완성차 업체도 골리앗이 개미에 물려 주저앉게 된 격인 이번 사태를 교훈으로 삼아 부품조달 시스템 다변화 등을 꾀할 필요가 있다. 핵심부품 생산의 경쟁체제 구축도 적극 검토돼야 한다. 핵심부품을 특정 업체에 전적으로 의존하다 보니 이 같은 일을 당하게 된 것이다. 유성기업 사태가 하루빨리 해결돼 국내 자동차 생산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의 공동 노력이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