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화제의 책] 신화의 시대

■ 이청준 지음, 물레 펴냄

지난 7월 작고한 소설가 이청준은 2002년부터 그의 마지막 작품을 구상하고 있었다. 스스로 ‘신화소설’이라 부르며 10년간에 걸쳐 완간할 계획을 세웠다. 3부작 장편 소설로 전체 얼개는 잡았지만, 원고를 완성한 건 그 중 1부 뿐. 탈고된 소설은 그가 세상을 떠난 지 5개월 만에 독자들과 만난다. 문학계간지 ‘본질과 현상 2006년부터 2007년까지’에 연재됐던 것을 다시 단행본으로 묶은 것. 작가의 유지에 따라 평전을 준비하는 이윤옥 문학평론가는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 “살아계실 때 ‘예전에 안보이던 저 너머의 것이 보인다. 신화에 대한 소설을 써야겠다’고 말씀하셨어요. 일반적인 의미의 신화가 아니라 ‘피의 흐름’으로 알 수 있는 세계에 관한 것입니다. 화려한 삶으로 인간 위에 군림했던 그리스 로마의 신들이 아니라 인간보다 더 불행한 그러나 인간세상을 넓게 포용해 신화가 된 사람들이 주인공입니다. 우리 태생적 차원의 정서인 ‘넋’에 관한 것이죠. 서구의 신들처럼 배타적이지 않고 모든 것을 감싸 안는 포용의 삶이 그곳에 있다고 선생님께서는 생각하셨어요.” 소설은 작가의 고향이기도 한 전라남도 장흥군 진목리를 배경으로 그의 이야기를 풀어내려 했다. ‘남돌이’라는 별명으로 더 유명했던 아버지, 폐결핵으로 일찍 세상을 등진 큰 형 등 소설을 통해 당시 진목리의 사람들을 복원해 냈다. 작가는 정치적인 기질이 강했던 태산과 예술가적인 기질을 타고난 종훈이라는 주인공을 내세워 두 사람이 각자의 이상향을 건설하기 위해 어떤 다른 삶을 살았는지를 대비하면서 소설을 완성하려고 했다. 이씨는 “1부만으로도 스토리는 완결되지만, 주인공이 어떻게 됐는지 궁금할 것”이라며 “사회와 역사를 주제로 한 다른 작품보다 훨씬 흡인력있고 추리소설처럼 재미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