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지난해 무역흑자 410억弗 사상최대

규모, 처음으로 日추월할듯


지난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흑자가 409억8,000만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고 수출은 처음으로 세계 9위에 올라섰다. 비록 수출과 수입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한 '불황형 흑자'구조를 보였지만 그래도 연말부터는 완연한 회복세로 들어선 모습이다. 3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2009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출은 3,638억달러로 전년 대비 13.8% 하락했으나 수입도 3,228억달러로 25.8%나 떨어지면서 410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이는 외환위기로 수입이 급감해 390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보였던 지난 1998년 이후 최고치며 사상 처음으로 흑자 규모가 일본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 반가운 것은 2008년 11월 금융위기 이후 1년 만에 수출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 증가세로 돌아선 데 이어 12월에는 수출과 수입 모두 각각 33.7%(362억4,000만달러), 24.0%(329억4,000만 달러) 증가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수출은 액정디바이스(28.5%)와 선박(4.4%) 등이 호조를 보인 가운데 반도체(-5.3%), 석유화학(-14.9%), 자동차 부품(-16.0%)이 중국의 내수 부양책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선전했다. 선진국 수출은 급감(21.2%)했지만 개발도상국 수출은 12.5%로 감소폭이 적었다. 대(對) 중국 수출은 7.5% 감소, 다른 지역에 비해 호조세를 보이며 수출비중(23.9%)도 전년보다 2.2%포인트 증가했다. 이에 힘입어 지난해 세계 교역량이 급감했음에도 수출 상위 10위 내 국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출감소율을 기록해 수출이 영국ㆍ캐나다 등을 제치고 세계 9위에 올라 첫 '톱10' 진입에 성공했다. 세계시장 점유율도 3.0%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1989년 시장점유율 2%대에 진입한 후 20년 만이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올해 수출은 2009년 대비 13% 정도 증가한 4,100억달러, 수입은 21% 내외가 늘어난 3,900억달러로 예상돼 무역수지 흑자는 지난해의 절반 수준인 200억달러 안팎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