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① 대도시 물그릇 키우고 ② 산사태 조기경보 구축 ③ 지천등 녹지공간 확보 ④ 지상 저류소 만들어라

기록적 폭우 견딜 새 방재대책 필요하다

28일 공무원과 군인들이 굵은 빗줄기를 뚫고 중장비를 총동원해 서울 남부순환로에서 전날 우면산 산사태로 흘러든 토사를 치우고 있다. 우면산 산사태로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조영호기자

① 대도시 물그릇 키우고 ② 산사태 조기경보 구축 ③ 지천등 녹지공간 확보 ④ 지상 저류소 만들어라 기록적 폭우 견딜 새 방재대책 필요하다 문병도기자 do@sed.co.kr 28일 공무원과 군인들이 굵은 빗줄기를 뚫고 중장비를 총동원해 서울 남부순환로에서 전날 우면산 산사태로 흘러든 토사를 치우고 있다. 우면산 산사태로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조영호기자 16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 우면산 산사태, 서울 강남 일대를 마비시킨 대규모 침수 등 지난 27일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처참한 수해는 이전과 차원이 다른 방재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도시의 물그릇을 키우고 산사태 조기경보 시스템을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또 지천ㆍ지류도 녹지공간 확보와 지상저류소 설치 등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대도시는 아스팔트로 덮여 있어 비가 내리면 땅에 스며들지 않고 낮은 지대로 자연스레 몰린다. 이 물이 하천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면 물바다가 되는 것이다. 강남 일대를 마비시킨 이번 폭우는 2~3시간에 100㎜ 넘게 집중적으로 내렸다. 전문가들은 이를 막기 위해 빗물을 임시로 모으는 지하저장소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즉 도심의 물그릇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서일원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도시 지하에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대규모 '지하 우수저류조'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도 이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2003년부터 우수를 일시 저장할 우수저류조를 만들고 있지만 이번에 수해가 난 우면산과 강남 일대에는 우수저류 시설이 한 곳도 없어 서울시 방제계획에 허점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더구나 예산 문제로 시 소유 땅 위주로 저류조를 만들다 보니 장소가 부적합하고 용량 또한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지적됐다. 산사태 예방을 위한 조기경보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도 높다. 국내에서는 산림청이 전국 모든 산의 산사태 위험도를 4등급으로 분류해 '산사태 위험지 관리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고 집중호우가 올 경우 산사태 경보나 주의보를 내리고 있다. 하지만 현장의 강우량이나 지반 물성 등을 반영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지질과 같은 기본정보만을 토대로 해 실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강우량과 지반 물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어느 정도 비가 내리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조기에 알려주는 경보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법ㆍ제도적 뒷받침과 예산확보다. 절개지 같은 인공사면은 관련법규가 정비돼 있지만 자연사면의 경우 2007년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이 만들어지기는 했으나 인공사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부실하다. 더구나 강우량이나 지반 물성을 계측할 수 있는 장비와 산사태 같은 지질재해 위험을 미리 알려주는 경보 시스템은 개발돼 있기는 하나 예산부족으로 설치된 곳이 한 곳도 없다. 곤지암천ㆍ경안천의 범람으로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한강 지천 정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 역시 나오고 있다. 특히 중랑천ㆍ안양천 등 서울 도심권을 흐르는 지천은 언제든지 위험수위에 다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안태진 한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홍수관리를 할 때 하천이 받는 부담에만 관심을 가져서는 안 된다"며 "유역 주변에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지상에도 저류소를 만드는 등 지천이 범람하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지천 정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악의 '물폭탄' 사태… 어쩌다 이지경까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