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화약고인 신장위구르자치구가 심상치 않은 분위기다. 특히 시진핑 국가주석이 외교·안보를 책임지는 국가안전위원회 주석으로 선임된 지난 24일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폭탄테러가 발생해 불안감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26일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24일 신장위구르자치구 아커쑤지구 신허현에서 폭탄테러가 발생해 12명이 사망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체포과정에서 용의자 6명이 경찰에 사살됐고 6명은 소지한 폭발물이 폭발해 사망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가 언론통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는 최근 분리독립에 대한 움직임이 테러 등으로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지역은 이슬람교도인 소수민족 위구르족의 거주지역으로 한족과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위구르족 간 민족갈등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 지난해 10월28일에는 중국의 심장인 톈안먼광장 마오쩌둥 주석 초상화를 향해 위구르족 독립운동 조직원이 차량으로 돌진해 폭발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앞서 15일에도 아와티현 잉아이르커향 파출소 앞에서 위구르인과 경찰이 유혈충돌을 벌이는 등 하루가 멀다 하고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중국 공안당국은 사실상 비상사태에 돌입했다. 계엄을 선포하지는 않았지만 신장위구르 지역은 준계엄 상태라고 전해진다. 중국 공안은 춘제를 기해 대규모 테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소문이 나도는 가운데 화약구매 실명제를 실시하고 신장위구르자치구 전역과 베이징 위구르인 거주지역에 대한 감찰을 강화하고 있다.
중화권 매체들은 미국 국가안보회의(NSC)와 유사하게 만들어진 중국 국가안전위원회가 일본 등 주변국과의 영토 및 영유권 갈등, 미중관계 등 대외적인 활동보다 티베트·신장 등 국내 불안요인에 더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이 조직이 공안·무장경찰·사법기관·국가안전부·인민해방군 등을 총괄하는 만큼 중국의 뿌리를 흔들 수 있는 분리독립 테러에 강경 대응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이 같은 바람은 '아랍의 봄' 3주년을 맞은 이집트에도 거세게 불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25일 하루 동안만도 군부 찬반세력의 유혈충돌과 폭탄테러로 전국에서 29명이 숨지고 수백명이 부상당했다. 전날에도 14명이 사망했다. 이집트는 지난 2011년 시민혁명으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30년에 걸친 독재정치를 종결시키고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을 선출했으나 군부가 지난해 7월 무르시 대통령을 축출한 후 무슬림형제단을 중심으로 군부반대 시위가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무바라크 퇴진 3주년이 되는 다음달 11일까지 긴장이 고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시위가 폭력 양상으로 치닫는 우크라이나에서는 정부가 야권에 총리직을 넘기고 개헌도 추진하겠다는 제안을 내놓았지만 야권이 이를 거절했다.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야당 지도자 아르세니 야체뉴크 전 외무장관에 총리 자리를 넘기고 야권이 요구해온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를 결합한 형태인 공화제로 헌법을 개정하는 논의도 하겠다고 25일(현지시간)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파격적인 제안도 야권과 시위대의 분노를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야체뉴크는 트위터를 통해 "협상은 없다"며 "지도자를 선택하는 것은 시민이지 당신(야누코비치 대통령)이 아니다"라고 정부의 제안을 거절했다. 주말에도 수도 키예프에서는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퇴진과 조기총선 그리고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을 요구하는 시위가 이어졌다.
정국불안이 악화일로로 치닫는 태국 역시 시위가 격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5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태국 헌법재판소는 "폭력사태에 대한 우려가 크다면 선거위원회가 조기총선을 연기할 수 있다"는 결정을 내렸다. 잉락 친나왓 총리는 다음달 2일 조기총선을 실시해 정국불안을 잠재우려 했으나 야당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시위대가 이에 반대하며 방콕 셧다운(기능 마비) 시위를 벌여왔다. 치안뿐 아니라 수출·관광 등 경제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는 태국의 정치불안은 이번주 말에 고비를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