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7·7 사이버테러] 검·경 본격 수사

국가 핵심기관 타깃… "불순세력 소행"<br>안보기관·금융 등 파괴력 큰 곳만 골라 공격

검찰과 경찰이 사상 초유의 사이버테러에 대해 본격 수사에 나서면서 이번 테러의 진원지가 과연 어디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가정보원에서 이번 사태의 배후로 ‘종북세력’을 지목했고 검찰 등에서도 개인보다는 ‘불순한 의도’를 가진 세력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공격 대상이 국가 안보와 관련된 정부기관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돼 있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 핵심기관에 집중=1차 사이버테러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핵심 정부 및 공공기관에 집중됐다는 점이다. 특히 공격의 대상이 국가 안보와 관련된 기관이나 금융 및 증권기관 등 사회ㆍ경제적 파괴력이 큰 곳만 타깃으로 삼았다. 이번 공격이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진행된 것 아니냐는 주장이 등장하는 근거다. 실제 1차 피해 사이트들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청와대 ▦주한미군 미국에서는 ▦국무부 ▦국방부 ▦국토안전부 등 안보와 관련된 정부기관들과 신한은행ㆍ외한은행ㆍ농협, 미국 나스닥ㆍ뉴욕증권거래소 등이 공격 목표가 됐다. 여기에 조선닷컴과 한나라당이 해커들의 집중 표적이 된 반면 다른 진보 성향의 언론이나 야당 사이트는 공격의 대상에서 제외된 것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아직까지 이번 공격의 의도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의문점이다. 보통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ㆍDDoS) 공격은 어느 한 사안에 대한 보복성 공격 또는 금품 수수를 목적으로 하는 게 대부분이지만 이번의 경우는 목적이 뚜렷하지 않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국가정보원이 “개인보다는 특정 조직 또는 국가 차원의 치밀한 준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국정원 ‘조직적 테러’ 방통위서는 ‘아직 확인 안 돼’=하지만 사이버테러의 진원지에 대해서는 정부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국정원과 검찰 등에서는 ‘종북세력’과 같은 조직적인 테러의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 국정원은 8일 오전 디도스 공격 분석 결과 이번 사태가 ‘특정조직’ 또는 ‘국가 차원’에서 치밀하게 준비, 실행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불순한 의도를 가진 조직이 국가 전체를 혼란에 빠뜨리기 위해 자행한 공격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1ㆍ2차 공격 모두가 국가 사이버 안전망을 뒤흔들 만한 조직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을 부각시키는 모습이었다. 반면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신중한 모습을 견지하고 있다. 아직 진원지가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범인이 누구라고 지적하기는 이르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황철증 방통위 네트워크국장은 “원인 제공자도, 공격 목적도 아직 알 수 없다”며 “일부 국가를 거론하는 것은 외교적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는 민감한 문제”라고 말을 아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