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원발성 뇌림프종' 환자에 '고용량 메토트렉사트 요법' 적용

방사선치료때보다 생존기간 3배 늘어<br>홍용길·양승호 교수팀

홍용길교수 양승호교수

난치성 뇌종양으로 알려진 '원발성 뇌림프종' 환자의 수술 이후 추가 치료시 다량의 항암제를 투여하는 '고용량 메토트렉사트 요법'이 기존 방사선 치료법에 비해 생존 기간을 3배가량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용길 강남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와 양승호 성빈센트병원 신경외과 교수팀은 지난 2000년~2005년 16명의 원발성 뇌림프종 환자에게 국내에서 처음으로 수술 이후 고용량 메토트렉사트 요법을 적용한 결과 평균 생존 기간이 50개월로 기존 방사선 치료시의 평균 생존 기간(18개월)보다 3배가량 늘어났다고 4일 밝혔다. 이 중 8명은 뇌종양이 완전히 사라지고 2명은 부분적으로 종양이 사라졌으며 방사선 치료의 후유증이 현저히 감소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원발성 뇌림프종은 뇌와 척수ㆍ안구 등 중추신경계 모든 부위에 발생해 두통ㆍ경련ㆍ시력장애ㆍ기억력장애 등 다양한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뇌종양이다. 메토트렉사트는 '디하이드로폴레이트 리덕테이즈'라는 체내 필수 효소와 결합, 세포 성장에 필요한 엽산의 기능을 저하해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제이다. 의료진은 수술 이후 기존의 방사선 치료를 실시하는 대신 고용량의 메토르텍사트를 정맥에 투여했다. 홍 교수는 "뇌림프종은 주변 뇌로 침범이 잘 돼 수술만으로는 완전한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를 병행해왔다"면서 "하지만 많은 양의 방사선을 받게 되면 기억력장애ㆍ인지기능장애ㆍ시력저하ㆍ보행장애 등의 각종 후유증이 유발될 수 있었다"며 "원발성 뇌림프종을 국내에서도 항암제로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임상결과를 담은 논문은 뇌종양 분야 국제학술지 '저널오브뉴로온콜로지(Journal of Neuro-Oncology)' 최근호에 실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