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 구니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가 지난 5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 메이지시대 산업혁명시설 세계유산과 관련해 한 발언이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이라는 우리 정부의 설명과 달리 일본 정부는 강제노동을 의미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사토 대사가 영어로 진행한 발언에서 논란이 되는 부분은 'forced to work'라는 표현이다. 우리 정부는 이를 '강제노동'으로 해석했지만 일본 정부는 가번역본으로 공개한 자료에서 '일하게 됐다'고 해석해 강제노동의 의미를 희석한 것이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도 세계유산위원회의 등재 결정 직후인 5일 밤 도쿄에서 기자들에게 사토 대사의 언급이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일본 언론이 6일 전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6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forced to work'가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시다 외무상이 명확히 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이날 "'의사에 반해'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제로 노동' 등 이 두 가지 표현은 누가 보더라도 강제노동으로 당연히 해석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처럼 '강제노동'의 해석을 둘러싼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될 경우 한일 관계개선의 호재는커녕 오히려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일단 우리 정부에서는 강제노동을 부인한 기시다 외무상의 발언 등은 일본 내 보수 여론을 의식한 것일 뿐이라며 의미를 축소하려는 분위기다. 한일 모두 국교정상화 50주년을 계기로 관계개선 의지가 확고한 만큼 강제노동 해석을 둘러싼 전선 확대는 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일본 언론은 강제노동에 대한 해석 논란과 함께 세계유산위원회의 등재 심사 일정이 한국의 견제로 하루 미뤄진 것에 초점을 맞추며 한일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주목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 고위관계자를 인용해 "한일 정부 간 신뢰관계가 훼손됐고 국민감정이 더 악화하는 것도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