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금융권, 지급보증 조건완화 요구

구제금융에도 자금 경색 여전<br>FDIC, 프로그램 발표 한달 지났지만 실적 미미<br>기업도 자금조달 애로… "CP매입 확대" 목소리


대규모 구제금융 작업이 진행중인 미국 금융가에 아직도 자금 경색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높다. 일반 기업들도'윗목'에는 아직 자금이 안 돈다며 정부의 기업어음(CP) 매입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3일(현지시간)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 골드만 삭스 등 월가의 주요 은행들이 뉴욕의 유명 로펌 설리반 & 크롬웰을 통해 정부의 지급보증 프로그램의 조건을 완화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월가 은행들이 발행한 채권의 지급을 보증하는 이 프로그램은 발표 한 달이 지났음에도 아직 실적이 미미하다. 이는 미국이 만기시 채권 금액의 전부를 은행이 되갚도록 하기 때문이다. 반면 영국은 유사한 은행 구제 프로그램에서 벌써 206억달러의 정부보증 채권을 발행했다. 은행들은 또 FDIC가 부과하는 수수료도 낮춰 줄 것을 요구했다. FDIC는 9월말 현재 미결제 잔액 전부에 대해 37.5bps의 수수료를 물도록 했으나 은행들은 해당 금액의 25%만 수수료 부과대상이 돼야 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생명보험사들도 주가 하락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정부의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날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AIG뿐 아니라 프린서플파이낸셜과 푸르덴셜, 올스테이트 등 약 35개 생보사가 14일(현지시간)까지 미 정부의 부실자산구제계획(TARP)에 따라 정부 지원을 신청할 예정이다. 정부 기준에 따르면 은행이나 연방정부 차원의 감독을 받는 저축대부업체와 자회사 관계로 연결된 생보사만 지원을 신청할 수 있어 전체 생보사중 약 절반 정도만 신청 자격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 생명보험업계는 골드만삭스가 메트라이프를 제외한 모든 업체에 대해 투자의견을 '매도'로 권고하자 주가가 급락하는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기업들도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텍스트론, 홈 데포, 혼다, 다우 케미칼, 닛산 등 주요 기업들이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 기업어음(CP) 매입 대상에 자신들도 끼워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FRB가 신용도가 높은 기업들의 CP만 사지 말고 이보다 다소 등급이 낮은 CP도 매입대상으로 삼을 것을 촉구했다. 30일짜리 최고 등급의 CP 이자율은 지난 한달새 4.28%에서 1.04%로 뚝 떨어졌으나 같은 조건의 차상위등급 CP 이자율은 6.30%에서 5.36%로 미미한 수준의 낙폭에 그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