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클린턴 전격 방북] '굳은 표정' 클린턴 '미소띤' 북측인사들

북한에 억류된 여기자 2명의 석방을 위해 4일 방북한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TV 화면에 잡힌 얼굴 표정이 시종 미소를 잃은 채 굳어 있어 공항에서 그를 맞은 양형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등 북한 측 인물들의 미소 띤 표정과 대조를 이뤘다. 북한 조선중앙텔레비전이 이날 오후 방영한 평양공항 도착 장면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은 비행기 트랩을 내려올 때부터 양 부위원장 등과 인사를 나눌 때까지 특유의 미소를 보이지 않은 채 딱딱한 사무적 표정을 유지했다. 반면 양 부위원장, 김계관 외무성 부상, 리근 외무성 미국국장 등은 밝은 웃음으로 그를 반갑게 맞았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웃음을 가득 담은 화동으로부터 꽃을 받을 때조차도 웃음기 없는 얼굴을 보여 그의 트레이드 마크인 밝은 미소나 파안대소의 흔적을 찾기 어려웠다. 그의 방북 목적이 장기간 북한에 억류된 미국 여기자들의 석방을 위한 것이라는 점과 현재 첨예한 북미 간 대립 국면이라는 외교적 상황을 반영한 것인 동시에 자신의 방북이 북미 간 우의에 따른 것이 아니라 지극히 사무적인 것이며 자신의 방북으로 핵실험 등에 대한 제재조치까지 흐지부지되지 않을 것이라는 등의 ‘터프한’ 메시지를 전하려는 뜻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는다. 그러나 북한 입장을 비공식 대변하고 있는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이날 클린턴 전 대통령의 평양 도착 표정에 긍정적인 해석을 달았다. 조선신보는 그가 양 부위원장, 김 부상 등과 악수를 하고 화동의 꽃다발을 받고 “‘고맙습니다’라고 감사의 뜻”을 전한 사실, “쌍방간에 예의적(의례적)인 인사뿐 아니라 수분간 대화”가 이뤄진 것 등을 들어 “비행장에서는 전직 대통령의 평양 방문이 실무적인 사업수행으로 그치지 않으리라는 것을 예감시키는 광경들이 펼쳐졌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또 “평양 비행장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을 맞이한 조선 측의 대응은 간결하면서도 환영의 뜻이 담긴 것이었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 중앙TV는 이날 오후6시 고 김일성 주석이 방북한 지미 카터 전 미 대통령을 만나는 내용이 포함된 기록영화 ‘민족대단결의 위대한 구성’을 지난달 4일에 이어 한달 만에 재방영, 북한 주민들에게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 장면과 중첩되는 효과를 일으켰다. 이 기록영화는 김 주석이 북한의 대외정책을 지지하는 해외 인사들과 만나는 장면들을 편집한 것이며 그 중에 김 주석이 1994년 6월 방북한 카터 전 대통령을 만나는 장면이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