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식약청, 농진청 개발 벌침화장품에 `일침'

"소비자 피해 우려"..시정촉구, 점검지시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최근 농촌진흥청이 개발에 성공했다는 `여드름 전용 봉독(蜂毒ㆍ벌침액) 화장품'에 대해 소비자에게 오해를 줄 수 있다고 강력하게 제동을 걸고 나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일 농촌진흥청에 "봉독화장품을 여드름 치료ㆍ효과가 있는 의약품으로 오인케 해 혼동을 줄 우려가 있다"며 이에 대한 보도설명자료를 요구하고 시정을 촉구하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앞서 농진청은 지난달 30일 여드름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봉독 함유 화장품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식약청 화장품정책과 관계자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 효과'는 의약품의 효능ㆍ효과로 화장품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 효능"이라며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식약청은 이와 함께 지방청에 농진청의 기술을 이전받아 해당 화장품을 제조ㆍ판매하는 업체 2곳의 허위과대광고 위반 여부를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농진청은 2008년 자체 연구를 통해 봉독의 여드름 예방과 치료 효과를 확인했고 이듬해 7월 관련 조성물 기술을 개발해 특허를 받았다고 밝혔지만, 관련 특허가 예방ㆍ치료 효과의 입증과는 관련성이 없다고 식약청은 보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조성물 특허는 효과를 입증하기 보다 다른 경쟁기관이나 업체가 동일 구성물을 쓰지 못하도록 선점하기 위한 절차"라며 "조성물 특허 만으로 의약품 효능에 해당하는 여드름 치료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설령 봉독의 해당 효과가 있더라도 화장품은 효능성분의 함량을 밝히지 않는데다 해당 화장품과 같은 미스트 타입은 대부분 물로 구성되는 특성이 있어 봉독의 효능이 조성물 함유 화장품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화장품의 경우 미백ㆍ주름개선ㆍ자외선차단 등 3가지 기능을 갖춘 성분 함유 외에는 다른 기능ㆍ효과를 심사ㆍ허가하거나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해당 기능ㆍ효과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보건당국의 방침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이에 대해 "농진청은 봉독이 여드름 치료 효과가 있다고 했을 뿐 해당 화장품이 그런 효과가 있다고 하지는 않았다"며 "해당 보도자료를 통해 소비자가 오해하거나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봉독의 해당 효과는 자체 실험을 통해 확인했고 관련 내용은 두 차례 국내외 저널에 실렸다"고 설명했다. 농진청의 봉독화장품 개발 발표 이후 해당 화장품 제조업체는 발표 다음날 주가가 크게 오르고 판매사이트에 방문자가 폭주, 서버가 다운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