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불확실·불신·불안 3불 위기… 버냉키 시장 통제력 잃나

美 양적완화 축소 시작땐 국채 수익률 급등 우려<br>亞 최대 리스크는 금리인상… 세계 성장률 2.2%로 하향


글로벌 금융시장이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중앙은행발(發) 양적완화 정책의 불확실성과 중국 등 신흥국발 경기둔화에 대한 불안감에 사로잡혀 통제력을 잃어가고 있다. 대규모 양적완화 지속이 초래할 자산버블과 출구전략이 몰고 올 경기급랭의 틈바구니에서 갈피를 못 잡는 중앙은행들에 대한 불신까지 3불(不)에 사로잡힌 글로벌 금융시장의 혼란은 날로 커져가고 있다.

양적완화 출구전략이 금융시장과 글로벌 경제에 속수무책의 충격을 안겨 줄 것이라는 경고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이미 중앙은행들이 시장에 대한 통제력을 잃은 '신뢰 리스크'에 빠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골드만삭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짐 오닐은 12일(현지시간) 선진국들의 출구전략이 시작되면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 의장도 저지할 수 없는 시장 붕괴가 진행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최근 몇 주 동안 지속돼온 시장의 혼돈은 연준의 출구전략이 실행되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를 보여주는 예고편에 불과하다며 출구전략 실행 이후 미국의 10년물 국채가 4%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오닐은 지금 시장 상황은 연준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해 채권시장에 충격을 가했던 1994년 위기 상황과 매우 흡사하다며 "(위기가) 재발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외환ㆍ채권ㆍ주식 등 3대 금융 시장은 지난달 23일 버냉키 의장이 미 의회 증언 도중 고용지표가 개선되는 정도에 따라 자산매입을 축소할 수 있다고 언급한 이래 요동치기 시작했다. 여기에 지난 11일 일본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추가부양 조치가 나오지 않자 선진국들의 출구전략에 대한 경계심이 한층 증폭됐다. 일본 도쿄증시의 닛케이지수는 회의가 열린 11일 이후 3일 연속 큰 폭으로 하락, 13일에는 지난 4월 대규모 양적완화를 도입하기 직전인 4월3일 이래 최저치를 기록해 '구로다 양적완화'가 견인한 증시 상승분을 고스란히 반납하게 됐다.

시장에서는 주요 중앙은행들이 시장 통제력을 이미 상실하기 시작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맥쿼리의 전략리서치 담당 빅토르 쉬베츠는 최근의 시장 동요에 대해 "시장이 금리를 통제하고 인플레이션과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자극하는 중앙은행의 능력에 대한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는 첫 조짐"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5월23일 이후 가장 극적인 증시 폭락과 엔화가치 상승에 시달리는 일본의 경우 아베 신조 총리와 아소 다로 재무상, 구로다 하루히코 중앙은행 총재가 실물경제 지표가 회복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불안감 진정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시장은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3일 아베 총리와 회동한 구로다 총재는 일본은행이 앞으로도 강력한 금융완화를 지속할 것이며 증시와 엔화도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고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날 도쿄 증시는 전날보다 6.35%나 폭락 마감했고 엔화가치는 달러당 93엔대까지 상승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시장의 불확실성과 불안에 가장 큰 충격을 받고 있는 것은 신흥국들이다. 선진국에서 지난 수년 동안 풀려난 유동성이 출구전략 가능성이 제기된 이래 빠르게 신흥시장을 빠져나가기 시작하면서 아시아와 남미 등지의 신흥국들은 증시ㆍ외환ㆍ채권 가격이 급락하는 이른바 '트리플' 폭락에 시달리고 있다. 세계은행(WB)은 12일 선진국 출구전략이 초래한 신흥국 투자자금 유출이 올해 신흥국의 경기를 당초 예상보다 악화시킬 것이라며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예상했던 2.4%에서 지난해(2.3%)보다 낮은 2.2%로 끌어내렸다. 특히 WB가 제시한 올해 개도국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1월 내놓은 5.5%에서 5.1%로 0.4%포인트 낮아졌다.

김용 WB 총재는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이 통화 정책에 고삐를 죄기 시작할 때 경제가 받게 될 충격이 염려된다"며 "통화완화 정책이 갑자기 중단되면 신흥국들의 자본 접근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WB의 앤드류 번스 이코노미스트는 "출구전략으로 유동성이 줄어들고 글로벌 경기부양 여건이 약화하면 금리가 오를 수 있다"며 "앞으로 아시아 국가들에 닥칠 최대 리스크는 금리 인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